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갯가재는 곤봉처럼 생긴 다리를 초속 23m로 뻗어 조개나 전복의 껍데기를 부순다. 탈피 전까지 이런 ‘권투’를 5만 번 이상 하지만,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데이비드 키사일러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화학및환경공학과 교수팀은 갯가재의 앞다리에 강도 ...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밀폐된 터널 안이 삽시간에 검은 연기로 가득 찼다. 심지어 터널 밖에서 지켜보는 기자와 연구진 쪽으로도 유독가스가 넘어오는 상황이었다. 신현준 선임연구위원은 “에어커튼 가동!”을 외쳤다. 순간 터널 출구 천장에 설치된 에어커튼이 날개(블레이드)를 15도 각도로 움직이더니 공기를 초속 30m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 경기도 성남의 한 5층 공동주택. 3층 세대의 주방쪽 창문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기 시작했다. 가스레인지에 올려 둔 프라이팬 식용유(대두유)가 18분 만에 발연점인 261도를 넘어 불이 붙은 것. 잠시 뒤 창문이 깨지고, 화염은 발코니를 타고 순식간에 위층으로 옮겨 붙었다. 집 안은 연기로 가득 찼다 ... ...
-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종목5] 컬링,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은 한국 동계스포츠의 전환점이 됐다. 이상화, 이승훈, 모태범 선수가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최초로 금메달을 땄기 때문이다. 쇼트트랙 종목에서만 강세를 나타내던 국내 동계스포츠의 경쟁력이 한 층 확대된 계기였다. 특히 이상화 선수는 올해 올림픽 3연패를 노리고 있다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루지는 스켈레톤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종목이다. 스켈레톤이 썰매에 엎드려 타는 반면 루지는 하늘을 향해 누워서 탄다. 또 무릎과 어깨로 썰매를 눌러서 조종하는 스켈레톤과 달리 루지는 ‘쿠펜’이라고 불리는 조종 장치를 발로 조작해서 움직인다. 그만큼 ‘발놀림’이 중요하다. 한국 루지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월 2일. 새해 시작과 함께 서울대 공대에 있는 풍동실험실을 찾았다. 굳게 닫힌 철문을 열고 들어가자 길고 거대한 풍동실험 장치가 눈에 들어왔다. 김희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연구원의 안내로 풍동실험 장치에 가까이 다가가자 안에 들어 있는 검은색 모형이 눈에 들어왔다. “스키점프 국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쿠버다이빙 수신호다. 영국에서 방송기자로 일한다는 엠마 로슬리 씨(41세·여) 는 기자와 달리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17년 전 신혼여행으로 그레이트배리어리프를 찾았던 로슬리 씨 부부는 자녀와 함께 추억을 공유하기 위해 다시 이곳에 찾았다. 하지만 산호초가 예전 같지 않다며 실망한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오리 159만 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다행히 1월 20일 현재 구제역은 발생하지 않았다. 둘 다 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어서 백신은 한계가 있다. 예방이나 치 ... ...
이전8188198208218228238248258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