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언어
발언
표현
단어
언사
소리
language
뉴스
"
말
"(으)로 총 9,11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국정감사] 출연연 연구원, 미사용 휴가 돈으로 환산하니…
2014.10.13
미래부가 산하기관인 25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 현장의 사기를 죽였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민병주 의원(새누리당)은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10명이나 나온 것은 바로 이런 환경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
했다. ... ...
쌀밥, 김치 누르고 커피가 1등한 까닭
2014.10.12
하나. 도대체 커피에 무슨 매력이 있어서 전체 식품군 중 1위를 차지하게 됐을까. 커피
말
고도 기호식품은 많다. 각종 차 종류도 많고 과자 같은 간식 종류는 다 헤아리기도 어렵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카페인 중독이 심한 건 아닐까 생각했지만 꼭 그런 것 만도 아닌 것 같다. 카페인은 홍차와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개량된 사과를 도입했다(홍옥과 국광이 대표적인 품종이다!). 그 결과 빈과와 토종 능금(
말
루스 아시아티카) 재배는 몰락의 길을 걷고 마침내 사라졌다고 한다. 필자가 추억에 잠겨 매년 가을이 오면 기다리던 홍옥, 아니 조나단이 한반도에 진출한 일본 제국주의의 선봉대로 토종 사과들이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않는다는 지적이 심해지자 연구에 쓴 세포가 성체의 것이 아닌 태아의 것이라고
말
을 바꾸기도 했다. 하루코 연구주임은 산성용액이 줄기세포를 만드는 이유를 밝혀내지 못한 반면, 김 교수팀은 전자기파가 왜 세포의 운명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메커니즘도 함께 밝혀냈다. 전자기파가 가해지면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애초 틀린 전제를 가지고 1+1의 답은 2가 아닌 3이라며 관객들에게 감탄하라는 식이다.
말
이 안 되는 전제에서 시작된 사유가 얼마나 큰 가치가 있는 지 기자는 잘 모르겠다(팩트 없이 추측에서 시작해 추측으로 마무리한 기사를 팀장에게 보여주면 어떤 불호령이 떨어질까). ● 차라리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형성되지 않아 덜 미끄럽게 된다. 바나나를 먹게 되면 어느 쪽 면을 밟느냐에 따라 정
말
미끄러운 정도가 다른지 실험해보고 싶은 생각이 문득 들지만, 안 그래도 오래 앉아있어 허리가 안 좋은 필자가 화를 자초하는 것 같아 자제해야겠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지식 하나하나를 놓고 보면 특정한 지식이 창출되거나 반박되었음이 즉시 알려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각 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은 우리가 입수하는 정보에 좌우된다. - 새뮤얼 ... 실린 글인데 뭘 보고 그렇게 썼는지 모르겠다). 다음에 인쇄를 하게 되면 잊지
말
고 업데이트를 해야겠다. ... ...
“과학기술 사업화 수익의 40%는 연구자의 몫”
2014.09.21
一衣帶水)’라는 표현을 꺼내들었다. “‘옷을 묶는 띠처럼 폭이 좁은 강’이라는
말
처럼 한국과 중국은 매우 가까운 사이입니다. 오랜 이웃 사이인 두 나라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지요. 한국에는 삼성과 같은 큰 기업이 있고, 중국에는 세계에게 가장 큰 시장과 인구가 있습니다. ... ...
영화 ‘제보자’로 본 ‘줄기세포 3대 스캔들’ 제보자 집중 분석
2014.09.19
사사이 요시키 이화학연구소 박사가 지난달 5일 자살하면서 STAP세포는 비극적인 결
말
로 치닫고 있다. ●신진 연구자일수록 제보 방법조차 몰라 일련의 사건을 통해 제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국내 연구자들의 의식은 쉽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인재 서울교대 윤리교육과 교수가 7월 ... ...
“바이오벤처 기업가 경험하고 올께요”
2014.09.16
수 있게 됐다”며 “이곳에서 진행한 연구를 향후 사업에 적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
했다. 이들 25명은 정부에서 연간 최대 6500만 원의 연구비를 2년간 지원 받는다. ... ...
이전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