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스페셜
"
설계
"(으)로 총 1,11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교협 "월성1호기 영구정지, 과기계 노력 무시한 참을 수 없는 모욕"
동아사이언스
l
2019.12.25
경주시에 건설된 원자력발전소로 한수원이 운영한다. 2012년 11월 상업운전 개시 30년만에
설계
수명이 만료됐다. 수명 완료로 가동이 중단됐다가 2015년 2월 26일 10년간의 월성1호기 계속운전을 표결로 허가했다. 하지만 같은 해 5월 2167명으로 구성된 국민소송인단이 ‘수명연장 무효 확인 소송’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를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제시했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설계
하는 데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자평했다. 정작 본인은 ‘이게 아닌 것 같은데...’라고 찜찜하면서 사람들에게 빙판이 미끄러운 이유를 압력이나 마찰열, 얼음 표면 물층의 존재로 설명해온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의결…감사원 감사·수명연장 취소 소송 변수(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이 나란히 집회를 열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설계
수명이 다한 노후 원전을 가동 중지하고 친환경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문재인 정부 에너지 정책의 핵심 사안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10월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론화위원회 결론에 따라 건설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속전파폭발 관측 새 장 연 과학자 올해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망원경은 원래 먼 은하에서 나오는 수소 방출을 측정해 초기 우주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설계
됐다. 이 프로젝트는 2010년 시작됐는데, 당시는 FRB가 2007년 처음 관측되면서 새로운 천체 미스터리에 관한 학계의 관심이 쏠리던 때다. 캐스피 교수는 차임 망원경이 가진 감도와 광시야가 FRB를 관측하는 ... ...
인공위성 강국을 여는 24명의 엔지니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마련한 공로가, 박종석 책임연구원은 국내 고유의 정지궤도위성 플랫폼의 기계시스템
설계
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공로가 각각 인정됐다. 기업 출신인 윤희광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책임연구원은 위성 전력계의 필수 전장품인 히터파이로펄스유닛(HP2U)을 국산화한 공로로, 이영란 쎄트렉아이 ... ...
'포니 프로젝트'는 진행형...국산 車 신화 새롭게 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고유모델이 뭔지 몰랐다”며 “어쨌든 뼈대 만드는 기술은 확보했으니 차체를
설계
해야겠다는 생각에 이탈리아 자동차 디자인 전문업체(카로체리아)인 이탈디자인에 의뢰해 디자인을 확정했다”고 말했다. 그런 우여곡절 끝에 1975년 포니 1호차가 출고됐다. 이듬해엔 1976년 에콰도르를 시작으로 ... ...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로 최적의 3D 프린팅 기술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3D 프린팅에 쓰일 소재는 무엇이 좋을지 디자인은 어떠면 좋을지 등을 따져 최적의
설계
를 잡아내 기업에 기술지원을 한다”며 “링크솔루션은 그 대표적 사례”라고 말했다. 링크솔루션은 생기원의 기술지원에 힘입어 유수의 성과들을 내고 있다. 우선 고기능 플라스틱 ‘피크’를 재료로 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가장 거대한 대왕고래까지 고래 약 300마리에게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로
설계
한 해저 야생동물 표지를 붙이고 10년 이상 추적했다. 고래가 각각 얼마나 많은 먹이를 먹고 에너지를 소비하는지 관찰한 것이다. 원래 이 연구를 시작한 목적은 멸종 위기에 놓인 고래 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 ...
英과학자 "한국 한방 난임치료 연구 '비과학적'" 논문심사 거부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결과를 내놨다고 보고 있다. 한방 난임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려면 잘
설계
된 연구를 통해 뚜렷한 데이터와 과학적인 근거를 얻고 국제 학계 공인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 ...
한국 철마, 북한 거쳐 시베리아까지 달린다…'동북아 공동화차' 첫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가변연결기는 올해 8월 개발됐다. 러시아의 추위에 대비해 영하 50도에서도 작동하도록
설계
됐다. 한국은 통상 화물열차 25칸을 연결해 운행하지만 러시아는 최대 140칸까지 연결해 운행하는 일이 많다. 이를 감안해 50칸을 이은 긴 열차에도 견딜 수 있도록 몰리브덴과 바나듐, 니켈 금속 비율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