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뉴스
"
지목
"(으)로 총 95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민 1만 명, 집단지성의 힘… 화성서 새 탐사 지점 찾았다
2016.10.24
방대한 화성 표면 이미지를 눈으로 분석하고 이를 NASA에 알렸다. NASA는 이들 시민이
지목
한 20여 개의 새로운 스파이더 후보 지역 중, 실제로 스파이더를 찾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MRO에 탑재된 고화질 카메라인 ‘하이라이즈(HiRISE)’를 이용해 새롭게 찾아낸 스파이더를 정밀 분석할 계획이다. ... ...
中企마저 휘청 ‘성장동력 비상’… 기업지원 출연연 사업 ‘지지부진’
2016.10.18
말 정부가 발표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서 구조조정이 가장 시급한 산업으로
지목
됐다. 문제는 사태가 이렇게까지 악화되는 동안 자율적 구조조정이 계속 미뤄져 왔다는 점이다. 신상철 중소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중소기업 경영자들의 경우 ‘내 회사는 내가 끝까지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과학자들도 사랑한 ‘밥 딜런’
동아사이언스
l
2016.10.16
‘밥 딜런(75)’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13일 선정됐다. 대부분의 사람은 그가 수상자로
지목
될지 알 수 없었다. 노벨위원회는 딜런을 수상자로 정한 것에 대해 ‘그의 참신한 시적 표현을 만든 공로를 인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딜런의 시적 표현을 인정한 것이 노벨위원회뿐이었을까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결국 식량 또는 사료를 전용하는 것이므로 세계 곡물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원인으로
지목
받고 있는데다 원료를 확보하려면 숲을 개간해 밭을 만들어야 하므로 전혀 친환경이 아니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따라서 최근 2세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자들은 비식용 ... ...
‘어둠’ 속에서 사람은 왜 유령의 존재를 느끼나
2016.08.26
어둡고 좁은 곳에 공포심을 불러일으키는 존재가 있다고 생각했다. 와이즈먼 교수는 “
지목
된 장소는 주변보다 온도가 섭씨 2도가량 낮고 햇볕이 잘 들지 않아 어두운 경향이 있었다”며 “사람들의 공포심은 음침한 곳에서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사람이 어두운 공간에서 유령을 보는 까닭을 ... ...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
2016.08.02
우선 신경증과 건강에 취약한 특성 둘 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적 요소가
지목
된다. 또한 늘 부정적인 기운을 뿜어 내는 통에 사회적 관계를 잘 맺지 못해서 각종 스트레스 상황에 물적이나 심적으로 도움을 잘 받지 못하는 점도 한 가지 가능성으로 거론된다(예컨대 신경증이 높은 ... ...
미팅에서 폭탄 취급만 받아요!
수학동아
l
2016.08.01
찾아 그 사람을
지목
하는 것이지요. 분명 상대도 당신과 잘 맞는다고 느꼈다면 고민남을
지목
하겠죠. 그때 비로소 최악의 상황을 벗어나 커플이 되는 최선의 내시 균형이 됩니다. 잊지 마세요! 커플이 되는 게 목적이라면 진정한 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걸 말이죠. 지금까지 게임이론으로 ... ...
18량 부산행 열차에 ‘좀비’가 나타났다
2016.07.24
장소는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있는 글레이셔 국립공원이나 캐나다 북부 로키산맥이라고
지목
했다. 사람이 적은 시골을 향해 달려가야 한다는 원칙은 잘 나타나있다. 로버트 스미스 일본 오타와대 교수는 조금 더 암울한 전망을 내놨다. 좀비가 창궐한다면 단기적인 피난처는 있을 수 있어도, ... ...
모기와의 전쟁에서 살아 남는 법
2016.07.15
계절이 돌아왔다. 모기는 최근 세계적으로 공포가 커진 지카 바이러스의 주범으로도
지목
되며 불청객 이미지를 한층 더 굳혀가고 있다. 과학자들도 최근 ‘모기와의 전쟁’에 나섰다. 모기가 사람을 쫓아다니지 못하게 만들고, 궁극적으로는 모기 개체수를 줄여나가겠다는 전략이다. ●땀 냄새 못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04
연구팀은 지난해 2월 구름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박테리아라고
지목
한 연구 논문을 ‘대기 환경’에 발표했다(doi: 10.1016/j.atmosenv.2015.02.060). 연구팀은 지상으로부터 30m 위치에 거치대를 설치해 2009년 2월부터 10월까지 내린 9번의 강우와 5번의 폭설 샘플을 얻었다. 14개의 샘플을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