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뉴스
"
증명
"(으)로 총 1,8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블랙홀 존재 입증한 '특이점 정리' 미래 물리학을 예견하다
2020.10.07
빅뱅 우주론의 관점에서 초기 특이점의 존재가 불가피하다고 생각했고 그것을 명백히
증명
하는 문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1963년 러시아의 립시츠와 칼라트니코프가 균질성과 등방성을 가정하지 않으면 우주는 특이점이 아닌 유한한 고밀도의 상태에서 팽창할 수 있다는 논문도 있었다. 그는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펜로즈 교수는 이 아이디어를 이용해 ‘특이점 정리’를
증명
했다. 펜로즈가 이
증명
에 쓴 위상수학적인 방법들은 현재 휘어진 우주에 관한 연구에서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블랙홀은 별의 경로를 지배한다 블랙홀은 볼 수 없다. 하지만 블랙홀의 큰 중력이 주변 별들의 움직임에 어떤 ... ...
첫 여성 천문학자, 육상선수 출신 천문학자, 무한계단 고안한 천재수학자 웃었다
2020.10.06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하면 공간과 시간이 끝나는 지점(특이점)이 발생함을
증명
했다. 영국 케임브리지에 호킹이 있다면 옥스퍼대에는 펜로즈가 있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다. 펜로즈 교수는 대중에게 펜로즈 계단으로도 유명하다. 펜로즈 교수가 아버지인 영국 의학자 리오넬 펜로즈와 함께 ... ...
노벨상 놓친 호킹 박사 절친 펜로즈 등 블랙홀 연구자 3인 노벨물리학상(재종합)
2020.10.06
확인한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며 “우리은하에도 작은 AGN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
한 업적과 당시만 해도 실제로 관측이 안됐던 블랙홀 존재의 가장 확실한 관측 조건을 밝힌 업적”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까지 최근에 우주 분야 연구자들의 노벨상 수상이 잇따랐다. 2017년 ... ...
블랙홀의 존재 입증한 펜로즈·겐첼·게즈…올해 노벨물리학상(종합)
2020.10.06
물리학과 교수는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별을 관측해 내부에 블랙홀이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
했다”며 “이는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고 설명했다. 올해 수상자에는 여성 물리학자인 게즈 교수가 포함된 점도 눈길을 끈다. 게즈 교수는 여성 물리학자로는 마리 퀴리(190 ... ...
노벨물리학상에 블랙홀의 신비 벗겨낸 천문물리학자 3명...女수상자 역대 4번째(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믿지 않았던 블랙홀의 존재를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결과라는 것을
증명
했다.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 중 가장 중요한 연구로 꼽힌다. 라인하르트 겐첼 소장과 앤드리아 게즈 교수는 우리은하 중심 궁수자리A 에서 태양 질량의 400만 배 정도 되는 초대형 블랙홀이 있다는 증거를 찾아낸 ... ...
삼성, 자율 4족 로봇·혀 미각이론
증명
등 31개 난제에 396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홈페이지 캡처. 사람이 맛을 뇌가 아닌 혀에서 바로 느낄 수 있을까. 스스로 목적지를 찾아가는 4족 보행 로봇 개발은 가능할까.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지원할 연구과제 31개를 선정하고 연구비 396억3000만원을 지원한다고 6일 밝혔 ... ...
“해바라기꽃으로 Go!” 꿀벌도 길들여진다
과학동아
l
2020.10.06
합성 해바라기꽃 향기)가 꿀벌이 찾아갈 식물을 선택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증명
했다. 월터 파리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 생물다양성 및 실험생물학과 교수는 “꿀벌의 채집 활동을 (특정 식물에) 편향되도록 유도해 작물 수확량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아몬드, 배, 사과 등 다양한 ... ...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10.05
모델로 계산한 값과 일치한다”며 “향후 베누 표면의 시료을 얻는 데 성공하면 이를
증명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SA의 오리시스-렉스는 10월 20일경 베누 표면 시료 채취를 시도하고, 2023년 9월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받은 도나 스트리클런드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 중성미자 진동 현상을 실험으로
증명
한 가지타 다카아키 일본 도쿄대 교수. 윤신영 기자 올해는 2010년과 2015년 이후 본격적인 수상이 없었던 실용 의학 분야가 수상할지 주목된다. 클래리베이트가 지난해 및 올해 발표한 논문 피인용 우수연구자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