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d라이브러리
"
학문
"(으)로 총 2,151건 검색되었습니다.
ERP/SCM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ERP/SCM공학은 국제적 기업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ERP/SCM을 이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학문
이다.1 ERP, SCM이란 무엇인가요?ERP, SCM은 정보 시스템 구축 도구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란 기업체 내의 모든 자원을 계획해서 운영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기술, 즉 기업 관리에 이용하는 소프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0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순수과학보다 다양한 공학 탐구물리학은 많은 공학 분야의
학문
적인 기초를 이룬다. 예를 들어 전기·전자공학은 전자기학과 광학 등을 기초로 이뤄졌으며, 토목 및 건축공학은 역학을 기초로 한다. 기계·항공공학은 역학과 열역학, 유체역학 등을 기초로 한다. 재료공학 ... ...
“수학은 뇌 전체 훈련에 효과적”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연스럽게 뇌 전체를 활용하게 된다고 발표했다.지금까지 수학과 같이 이성적인
학문
은 좌뇌의 능력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좌뇌는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활동을, 우뇌는 예술적이고 직관적인 활동을 담당하기 때문이다.황 교수는 “수학은 계산 원리뿐 아니라 도형감각도 필요하다”며“수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동안은 말을 걸기 어려웠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다른 사람과 탁구 치는 것을 즐기며,
학문
외의 생활에서는 관대하다.“며칠 전 경주로 가야 할 일이 생겼어요. 잘 가던 차가 갑자기 길 위에 멈춰 서더군요. 결국 견인차를 타고 경주까지 갔어요. 함께 있던 사람이 무척 미안해했지만 제겐 둘도 없는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관심만 보더라도 영국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수학자가 탄생하는 이유와 영국이 기초
학문
이 튼튼한 나라로 손꼽히는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수학자 그린의 풍차방앗간에는 그가 유도한 ‘그린의 정리’가 여기저기 적혀 있다.수학 박물관으로 변신한 방앗간영국에는 수학 행사가 끝나더라도 수학을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연구자들의 평가다.김동락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물성과학연구부장은 “초전도체는
학문
적으로는 한계에 다다라 흥미를 못 끌고 있다”며 “세계적으로 응용 분야에서 조만간 상용화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게 초전도 케이블과 같은 전력 장비”라고 설명했다. 고온초전도체의 발견은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혈흔형태 분석은 2000년대 후반에야 도입하기 시작했다. 외국에서 1900년대 초에 태동한
학문
인 점을 생각해보면 엄청나게 늦은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도 많이 낙후돼 있다. 증거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이 바로 데이터베이스다. 현장에서 아무리 훌륭한 지문을 채취했어도 지문 정보가 없으면 용의자가 ... ...
Part 2. 수학이 과학에 속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수학에 속한다진상민 “수학이 바탕이 돼야 과학이 발전하기 때문이다.”서로 다른
학문
이다김지현 “과학에 있어서 필요한 수학은 계산에 불과하다. 계산을 수학이라 할 사람은 없으므로 수학과 과학은 별개다. 수학에선 과학이 필요하지 않은 것 같다.”기타양나은 “수학과 과학은 사람이 ... ...
초등 탐구토론의 메카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혼자 할 때보다 여러 명이같이할 때 더 큰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혼자서 연구하는
학문
이라고 생각했던 수학도 최근에는 여러 명이 함께할 때 더 좋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진 좋은 것을 서로 공유할 때 가장 좋은 것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세요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생물학 기술이 미국을 중심으로 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게링 박사는 최신
학문
을 배우기 위해 미국 예일대로 떠났다.미국에서 첨단 기법을 습득한 그는 1972년 스위스 바젤대 생명과학센터에 교수로 부임해 돌연변이 초파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재개했다. 그 사이 초파리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