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살고 있는 세상을 이해하려 한다”고 말했다.학부 시절 사회학을 전공하다가 화학으로 전공을 바꾼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인 그래닉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세포들의 사회학’이라고 표현했다. 대부분의 생물학 연구가 단일 세포 안에서 어떤 현상이 어떤 원리에 의해 일어나는지 알아내는 데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결정합니다. 저는 각 컴퓨터에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연구했습니다.“전공이 무엇이든 영어는 열심히”공대생이라서 영어를 잘 못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있다면 정말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학부 때도 영어 원서 책을 많이 보고, 대학원에서는 논문 볼 일이 정말 많기 ... ...
- [과학뉴스] 연세대 ‘창조과학’ 강의 개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문제를 제기했고, 일부 언론이 인터뷰를 통해 사실로 확인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비록 전공과목이 아닌 신입생 세미나 과목으로 개설됐고 수강 인원도 10명으로 적지만, 종합대학에서 가르치기에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한 재학생은 SNS에 “의학부에서 아프리카 부두 주술을, 사학과에서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종교적, 영적 의미를 서술하라’는 문제에 학생들이 머리를 싸매고 있다. 문학을 전공하던 3학년 조지 고든 바이런은 잠시 망설이더니 단 한 문장을 적고 유유히 교실을 빠져나간다. “물이 그 주인을 뵙고, 얼굴을 붉혔다(Water saw its Creator and blushed).” 그는 이 시험에서 최고점을 받았다.그런데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과정에서 기술을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어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강태구 교수는 “전공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실전에 응용하면서 학생들이 재미와 의욕을 갖게 된다”며 “로봇축구대회 자체가 하나의 교육”이라고 말했다. 로봇 축구대회도 휴머노이드가 대세!올해 FIRA컵에는 15개국 63팀 45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듣고 싶은 수업을 듣는다. GIST대학 학생들이 좋아하는 수업은 뭘까. 의외로 사회학과 전공수업인 ‘사회 불평등’ 과목이다. 22명이나 몰렸다. 경제 양극화의 배경과 인종이나 성적지향에 따른 차별 등을 배운다. 이공계생이 왜 사회학과 수업을 듣느냐는 질문에 채승(전기전산 3) 씨의 눈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우를 수 있는 과죠. 기계를 좋아하는 학생은 물론이고 ‘적성은 공대인데 무엇을 전공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학생도 환영입니다. 우리 과를 졸업하면 어떤 분야로도 진출할 수 있으니까요 ...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김영채 씨는 미술을 전공한 대학원생이다. 그녀의 쌍둥이 언니 역시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했고, 지금은 제주도에서 홀로 작업을 하고 있다. 쌍둥이 자매는 자신들도 놀랄 만큼 팔, 다리, 키 같은 몸 생김새가 똑같다고 했다. 차이점도 있었다. 영과 타협하는 성격인데 언니는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은 꼭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원리와 질서를 이해하는 일은 굉장히 즐겁다고 했다. 하지만 수학을 접할 일이 없는 비전공자들은 이런 기쁨과 환희를 느낄 기회가 없다. 그들은 수학이 아닌 말이나 글을 통해 과학을 받아들인다. 평소 과학 대중화에 관심이 많은 이 교수는 그런 현실을 잘 알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을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큼 중요한 것은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느냐다. 예를 들어 20년 전 한국에서 석사를 할 때 전공 서적을 엄청 많이 샀다. 불법 복제본인데 정작 책을 사고는 바빠서 읽지 못했다. 그 책들이 내게 의미가 있으려면 책장에 꽂아두는 게 아니라 읽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유전정보가 저장돼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