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당함
타당성
타당함
적합함
합목적성
설득력
d라이브러리
"
적절함
"(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방세포 수, 20세 이후 일정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직장에 들어와 ‘사회살’이 붙은 직장인보다 고3 수험생 때 ‘수능살’이 붙은 청소년이 체중조절에 실패하기 쉽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스웨덴 카롤린연구소 키스티 스팔딩 박사팀은 성인이 체중감량을 할 때 지방세포의 크기는 줄일 수 있어도 이미 20세에 정해진 지방세포 개수는 그대로 유지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영화 ‘GP506’은 베트남전쟁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 공포물 ‘알 포인트’(2004년)로 유명한 공수창 감독의 두 번째 작품이다. 영화에서 사건이 발생하는 GP(Guard Post)는 비무장지대 안에 있는 최전방 감시초소로 북한군의 침투나 매복을 조기에 발견하는 임무를 갖는다. 군인 20여명이 상주하는 GP 내부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빛의 혁명’이 시작됐다. 거리의 가로등부터 슈퍼마켓 냉동고와 백화점 매장의 조명등까지 램프가 변신 중이다. 지난 4월 6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조명 전시회 ‘라이트+빌딩 2008’에는 조명의 미래를 점칠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코스모폴리스_이산화탄소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불타버린 숭례문 복원에 가장 큰 걸림돌은 옛 건축기술이나 설계도면이 아니라 놀랍게도 소나무다. 숭례문 복원에 필요한 기둥과 들보감이 될 만한 굵고 큰 소나무를 우리 땅에서 쉬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기회에 경복궁, 광화문, 숭례문 등 궁궐 복원에 필요한 건축재로 굳이 소나무를 사용하 ... ...
너에게 주고 싶은 달콤함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두근두근, 오늘은 화이트데이~♡ 내가 좋아하는 소녀 달코미에게 예쁜 사탕으로 내 사랑을 고백해야겠어. 다양한 색과 맛의 사탕 중에 달코미는 어떤 사탕을 좋아할까? 어떤 걸 골라야 할지 고민하고 있는데 갑자기 궁금해졌어. 왜 밸런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에 달콤한 초콜릿과 사탕으로 사랑을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미국의 우주왕복선 엔데버가 지난 3월 11일 ‘키보’의 첫 부품을 싣고 우주로 향했다. 희망이라는 뜻의 ‘키보’는 일본의 첫 유인 우주실험실이며 국제우주정거장(ISS) 모듈 중 규모가 가장 크다. 키보는 이번 비행을 비롯한 총 3회의 우주왕복선 비행을 통해 완성된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지난 가을 필자는 몽골의 항올 지구에 의료봉사활동을 다녀왔다. 할아버지 한 분이 앞이 잘 안 보인다며 진료를 받으러 왔다. 노안 외엔 별다른 문제가 없어서 얼마나 잘 안 보이는지를 다시 여쭈었다. 할아버지는 “전엔 먼 산 밑에 선 것이 말인지 양인지 구분할 수 있었는데 요즘은 도저히 구별이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신나는 겨울방학 동안 러시아 아기 매머드의 미라, 고흐의 아이리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성경인 사해사본 등 흥미진진한 전시가 많이 열렸습니다. 우리 친구들은 어떤 전시회에 다녀왔나요? 그리고 이 때,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날아온 진귀한 유물들은 어떤 방법으로 운반되었는지 궁금하진 않 ... ...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영화 ‘소머즈’(Bionic Woman)에서 주인공인 소머즈는 멀리 떨어진 건물에서 발생한 소리도 정확하게 듣는다. 이런 일이 정말 가능할까.1만 5000화음 연주되는 달팽이관소머즈의 귀는 달팽이관의 성능이 강화됐을 가능성이 크다. 귓속에는 귓구멍과 고막, 달팽이관이 차례로 이어져 있다. 약 3.3cm 길이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The apparent antiquity of the methanogenic phenotype plus the fact that it seems well suited to the type of environment presumed to exist on earth 3~4 billion years ago lead us tentative to name this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