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입자"(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부르지요. 전해질 안에는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만들어진 ‘이온’이라는 입자가 들어 있어요. 이온이 전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가 흐를 수 있답니다. 가장 쉽게 만들 수 있는 전해질 중 하나가 바로 소금물이에요. 보통 물엔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소금을 물에 녹이면 나트륨 ... ...
- [과학뉴스] 제5의 힘, 존재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보존이 새로운 힘을 매개하는 입자일수 있다고 추정했다. 암흑물질의 세계와 표준모형의 입자들의 세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힘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펭 교수는 “다섯 번째 힘이 전자기력, 약력, 강력과 더불어 근본적인 힘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추가 실험을 통해 사실로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기 때문이다. 독도의 평균 토층은 두께가 10~15cm로 육지에 비해 훨씬 얇다. 게다가 흙 입자가 주로 ‘롬질 모래(loamy sand)’로 이뤄져 있어 풍화나 침식에 취약하다.이날 조사에서도 독도 전체에 미세한 침식이 관측됐다. 한 측정 지점에서는 3개월 전 마지막으로 측정했을 때보다 흙의 두께가 1cm나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틀렸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표준모형에 따라 쿼크로 이뤄진 ‘케이온’이라는 입자가 가지는 상수값을 계산한 결과가 가속기를 이용해서 얻은 실험값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D’ 1월 29일자에 발표됐다. 강지훈 KISTI 슈퍼컴퓨팅응용실장은 “매년 약 20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뿐이다. 그런데 이 기계는 정반대 방향으로 무언가를 배달한다. 화물은 아마도 무슨무슨 입자 같은 아주 작은 물건일 것이다. 간단한 숫자 정보를 담아 과거로 보낼 수 있는 최소한의 패키지. 수신자는 기계 자신, 수신 시간은 물론 ‘바로 전에 누군가가 올라선 시각’일 것이다.은경은 문을 열고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않죠. 비행기가 이륙할 때 만들어내는 와류 때문입니다. 비행기가 빠르게 지나가면 공기 입자들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동방향과 반대로 소용돌이치는 흐름이 발생하는데, 이걸 와류라고 합니다. 와류는 그 뒤에 이륙하는 비행기에 영향을 줍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우 비행기 사이의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아스파탐은 D형이다. 그런데 L형 아스파탐을 우리 혀는 씁쓸한 맛으로 느낀다. 향기입자인 리모넨은 D형인 경우 오렌지 향을 내지만 L형인 경우 레몬 향을 낸다. 그래서 일부러 특정 거울분자만을 걸러내 오렌지 향 또는 레몬 향이 나게 만들 수도 있다. 또한 통증을 느끼는 감각수용기에 들러붙어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들이 전자라면 남녀를 묶어 춤을추게 하는 음악이 바로 포논이다(포논의어원이 소리입자 아닌가!). BCS이론에 따르면, 음의 전하를 갖지만 스핀이 서로 반대인 전자 두 개를 포논이 매개해서 짝을짓게 한다. 그 결과 전기저항이 0이 된다.전자와 포논이 짝짓기하는 현상도 흥미롭다. 고체 안에서 ... ...
- [과학뉴스] 샴푸, 마지막 한 방울까지 짜 쓰려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계면활성제가 많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유리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를 나노입자로 만들어 용매에 섞은 뒤, 플라스틱 표면에 뿌렸다. 플라스틱이 용매에 살짝 녹았다 굳는 과정에서 이산화규소가 표면에 고르게 박혔다.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니 ‘Y’자 모양으로 돌출된 마이크로미터 크기 ... ...
- [과학뉴스] 통통 튀는 물방울이 오염 제거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미국 듀크대 기계공학 및 재료과학과 천-후아 첸 교수팀은 두 액체 물방울이 고체 입자인 오염 물질 위에서 융합할 때 표면 바깥쪽으로 튕겨 나가는 자체 추진력이 생긴다는 데 주목했다. 그리고 이것을 이용해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증명했다.그동안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