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감염 또한 이제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돼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관리가 가능한 질병의 영역에 들어섰다. 그 러나 치매, 강박증, 자폐증, 조현병과 같은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치료법은 생명과학과 의학의 급격한 발전에도 상대적으로 큰 혜택을 받지 못했다.오늘날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가장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끌개(아래).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이전 경로와는 절대 만나지 않으면서 나비 모양 영역을 벗어나지는 않는다.Fractal그 많은 치즈는 다 어디서 왔을까?다음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극한에 관한 문제다.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인 정사각형 안에 선을 그어서 가로 세로 길이가 인 9개의 정사각형으로 ...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빛을 원하는 형태로 변형하기까지 한다며? 빛은 그저 곧게 나가는, 건드릴 수 없는 신의 영역일 텐데…!끝없이 곧게 나가는 빛, 레이저발표를 할 때면 레이저 포인터를 자주 사용해요. 빨간 점이 발표자가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 주지요. 빛을 비출 때 거리가 멀어질수록 빛이 닿는 면적이 점점 ... ...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개도 사람이나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얼굴을 인식하는 뇌의 영역이 있다는 게 밝혀졌고, 이것은 개 역시 사람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동물이라는 증거”라고 말했답니다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천문학자 에지워스와 1951년, 미국의 천문학자 제러드 카이퍼가 가설로 예측한 영역으로 이곳에 천체들이 모여 있다고 생각했어요. 이후 관측 기술의 발달로 지금까지 수천 개의 천체가 발견돼 카이퍼 벨트의 존재가 입증되었답니다.하지만 지금까지 그 어떤 탐사선도 카이퍼 벨트를 직접 탐사하지 ...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있답니다. 나방의 청각은 30~50kHz 주파수에서 가장 민감하고, 대부분의 박쥐가 이 주파수 영역의 초음파 소나를 이용해요. 그래서 일부 박쥐는 초음파 소나의 주파수를 30kHz보다 더 낮게 만들거나, 50kHz보다 훨씬 높게 만들어 이용하기 시작했어요. 그러면 나방은 박쥐의 초음파 소나를 잘 듣지 못하고, ... ...
- 침팬지도 익힌 음식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그때 뇌의 ‘브로카 영역’이 활성화 되죠. 이 부분은 인간의 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침팬지도 사람처럼 언어를 사용할 줄 안다고 생각하게 됐답니다.표정으로도 대화를 한다고? 사람들이 대화할 때 짓는 그런 표정과 비슷한 거야?최근 영국 포츠머스대 마리나 다빌라 ... ...
-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곡을 만들고 있다.최근 작곡 SW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바흐와 같은 천재 작곡가의 영역에도 도전장을 내밀고있다. 지난 8월 미국 예일대 컴퓨터과학과 도냐 퀵 박사는 ‘쿨리타’라는 인공지능 작곡프로그램을 개발해 발표했다. 쿨리타는 기존의 악보를 이용해 음악적 요소를 분석한 뒤 음계를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론과 더불어 바이러스의 구조를 알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다. 생물학자들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물리학자는 물론 생물학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수학자도 함께 말이다. 비록 지금까지 밝혀진 바이러스 구조는 거대한 바이러스 빙산의 아주 일부분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바이러스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해결하기 위해 오랜 기간 공을 들였어요. 4색 문제란 평면에 그려진 지도에서 이웃하는 영역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할 때 4가지 색으로 전체를 다 칠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예요. 1952년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가 처음 제시했죠. 저 말고도 영국의 수학자드 모르간부터 독일의 수학자 다비드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