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2012년 3월 학술지 ‘플로스원’에는 톡소포자충을 뇌에 감염시키면 알츠하이머로 인한 신경퇴화를 막고 학습 및 기억 능력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논문의 교신 저자인 신은희 서울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교수는 “처음에는 톡소포자충이 알츠하이머를 증가시킬 것이라고 예상하고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체를 먹던 ‘시체 청소부’라고 주장하기도 해요. 티라노사우루스는 후각 신경이 발달돼 있어서 독수리처럼 냄새만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는 사체를 찾을 수 있었거든요. 또 강한 턱 근육과 이빨은 다른 동물들이 먹고 남은 사체의 뼈를 부숴 먹기에 알맞은 구조랍니다.티라노사우루스가 ‘난폭한 ... ...
- [과학뉴스]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맛을 내는 음식에 정상적으로 반응했다. 또 신맛 수용체를 마비시키고 물을 먹이자 뇌 신경의 반응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신맛 수용체가 물맛을 인식한다는 가설을 추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했다. 쥐 앞에 빈 물통을 놓고, 물통을 건드릴 때 마다 신맛 수용체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생긴 눈은 겉모습만 눈과 유사한 것이 아니라, 실제 눈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세포와 신경세포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고작 유전자 하나를 발현시켰을 뿐인데 날개와 다리에 눈을 만들어 내다니 대단하죠?이 논문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논문 마지막에 “다리와 날개에 생긴 눈이 실제로 눈의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조직망이 발견되었다. 아마도 저것은 통증을 느끼는 신경망일 것이다. 주사를 한다면 저 신경망을 건드리게 된다. 만약 그렇게 되면….”황제는 말을 끝맺지 못했다. 그러나 둘은 아이가 주사를 맞고 가장 큰 소리로 울음을 터뜨리는 끔찍한 광경을 동시에 떠올리고 있었다. 그 공포감에 두 사람은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위치해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랍니다. 거대로봇, 다이어트가 필수!거대로봇 설계에서 신경 써야 할 또 다른 부분은 ‘무게’예요. 키가 커질수록 몸무게는 늘어나고, 로봇의 힘은 약해지거든요.예를 들어 키가 150㎝, 무게가 50㎏인 사람의 키가 10배(H) 늘어났다고 생각해 볼게요. 몸길이가 10배로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황제펭귄을 수호하라!6월 6일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WHOI)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거주지 이전이 반짝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고 합니다.우리 종 ... 우리 종족의 수를 유지할 수 없다는 거지요. 우리를 위해서도 환경 문제에 더 신경을 써 줄 것을 부탁드립니다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번엔 요섹남 정자인데요, 아…, 이를 어쩌나요. 태아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하고 신경관 결손이 생기고 있는 현장입니다. 그러게 엽산을 많이 먹은 뒤에 출전을 했어야 하는데….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엽산을 먹지 않은 수컷의 2세와 엽산을 많이 먹은 수컷의 2세를 비교 분석했을 때,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강 박사는 “예쁜꼬마선충은 비록 벌레지만, 소화기관이나 신경기관 등이 사람과 비슷하다”며 “향후 다양한 식의약품의 효능을 발굴하거나 약물의 작동원리를 밝히는 데에도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독성’ 6월호 표지논문으로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크기가 서로 다른 데도 신경세포의 수가 같은 이유는 무엇일까. 맥건 교수는 “그저 (후각신경구를 이루는)근섬유 개수가 많기 때문”이라면서 “기관의 크기와 감각을 느끼는 능력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사람과 동물마다 잘 맡는 냄새가 있다그렇다면 왜 개가 사람에 비해 냄새를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