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농게 구애춤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미리 파놓은 은신처 앞에서 구애춤을 추면 암컷은 구애춤을 보고 마음에 드는 수컷을
선택
해요. 보통 10~20마리의 수컷을 방문하지요. 까다로운 암컷의 경우 방문 횟수가 수십 차례에 이르기도 한답니다. 최근 영국과 호주 공동연구팀은 농게 집게발과 똑같이 움직이는 로봇으로 구애춤의 속도와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무한 크리스탈 우주’에 맵핑되는 별 또는 별자리를
선택
할 수 있다. 화면에서 마음에 드는 별이나 별자리를 고르면, 그 모양으로 ‘무한 크리스탈 우주’가 구성된다. 심도 감지 카메라가 공간을 3차원(3D)으로 스캔한 뒤 메인 컴퓨터로 전송하면, 그 공간에 딱 맞게 별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일종의 전광판이다. 암컷은 자신의 기준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외모를 가진 수컷을
선택
한다. 그렇다면 과거의 공룡은 어땠을까. 마찬가지로 화려했을까. 10년 전까지만 해도 고생물학자들은 공룡의 색을 알 길이 없었다. 화석에는 거의 뼈만 남아 있기 때문이었다. 피부 화석이 발견된다고 해도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등 여러 가지 제도를 통해 학생들을 폭넓게 지원하고 있다. 전 씨가 화학공학과를
선택
한 이유는 화학공학이 가진 다양성 때문이다. 사실 전 씨는 수능 공부에 집중하면서 진로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할 시간이 많이 없었다. 화학공학과를 지원한 이유는 명확한 목적의식보다는 화장품에 포함된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것이 꿈”이라며 “화학생물공학부가 공대 중에서 가장 활용 범위가 넓은 것 같아서
선택
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중학교 때는 문과 지망생이었는데, 진로를 급하게 바꿔 영재고로 진학했다. 그래서 1학년 때는 수업을 따라가기가 힘들었다. 그는 “개념과 문제 풀이를 병행해 공부했다”며 ... ...
[에디터노트] 1993년 ‘불수능’의 기억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등급 기준이 아니었다). 교육부는 대학에 지원할 때 1, 2차 성적 중에서 더 높은 점수를
선택
할 수 있게 했지만, ‘불수능’이었던 2차 시험은 수험생들의 진만 빼놨을 뿐 정작 입시에는 도움이 안 됐다. 기자도 예외는 아니었다. 수능 1차 시험에서 부진했던 성적을 2차 시험에서 만회하려고 했던 ... ...
part 5. 수학 여행 체험 활동지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그럼 카메라로 왼쪽 QR코드를 찍어 ‘Create game’ 탭을
선택
해 보세요. 나라와 도시 수를
선택
해서 문제를 만들고, 컴퓨터에서 직접 답을 찾아볼 수도 있답니다. 활동 2 TSP 아트! 외판원 문제 알고리듬을 이용해 예술 작품을 그리기도 합니다. 프로그램을 이용해 사진을 최적 경로처럼 바꾸는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색이 겹치지만 않게 만들면서요. 이제 세 가지 색 중 하나를
선택
해 볼게요. 파란색을
선택
했다고요? 그럼 파란색 꼭짓점에만 보안 요원을 배치하면 됩니다. 모든 삼각형은 하나의 파란 꼭짓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삼각형마다 보안 요원이 한 명씩 배치되니, 파란 꼭짓점에 있는 보안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참가 자신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설명하기를 좋아한다면 과학탐구대회 외에도 여러
선택
지가 있습니. 대표적인 것이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주최하는 ‘과학전람회’입니다. 1인 또는 2~3인으로 구성된 팀이 자신이 정한 연구 주제에 대해 탐구 활동을 진행합니다. 이후 이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관련이 있다. 김 교수는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하면서 복수전공으로 컴퓨터공학을
선택
했고, 부전공으로 생물학까지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생물정보학 연구에 최적화된 셈이다. 김 교수는 “크리스퍼(CRISPR-Cas9)로 대표되는 유전체 교정 기술을 함께 이용하면 단일 세포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