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투발루여 가라앉지 마소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마치 물잔에 띄운 얼음이 녹아도 물이 넘치지 않듯 해빙이 녹더 라도 전체 바닷물의
부피
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문제는 그린란드와 미국 알래스카, 캐나다 북극권, 남극에 존재하는 거대한 내륙빙하다. 특히 북극의 그린란드는 눈곱만큼의 해안가를 제외하곤 전부 빙하로 덮여있다. 인도 면적 의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가장 많이 일으키는 n─헵탄을 0으로, 이들의 혼합물이 나타내는 옥탄가를 이소옥탄의
부피
로 표시한다 가령 이소옥탄이 90%이고 n─헵탄이 10%인 가솔린의 옥탄가는 90인 셈이다 현재 시판중인 가솔린은 자동차가 저속으로 달릴 때를 기준으로 하여 옥탄가 92와 96 등이 있다데이터통신이 발달함에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커피 잔과 도넛을 구분하지 못한다고 농담 삼아 얘기하는데, 위상수학은 도형의 크기나
부피
와는 상관없이 각 도형이 가진 독특한 구조를 연구한다.이 분야는 18세기의 오일러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된 학문이다. 대수학을 이용해 도형의 구조를 연구하는 아이디어를 처음 낸 사람은 ... ...
수소결합에 감사하는 북극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입체구조를 만들며
부피
가 커진다. 물분자의 운동과 수소결합이 균형을 이뤄 물의
부피
가 가장 작아지는 온도가 바로 4℃다. 따라서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작아 물에 뜬다.DNA에 생명정보 쓰는 연필북극곰은 물분자의 수소결합이 삶의 터전을 마련해 준다는 사실에 고마워해야겠지만 사실 수소결합은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등의 물질입자 1mol 속에 함유되어 있는 입자의 수 모든 기체는 등온 · 등압일 때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한다는 법칙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아보가드로가 1811년에 가설(假說)의 형태로 수립한 물질의 분자에 관한 법칙이다 10세기 후반에 활약한 페르시아의 약리학자 헤라트에서 출생 ... ...
묶어서 표현하면 편리한 '몰'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정도다.한편 물 분자를 반지름 0.3nm(3x${10}^{-10}$m)의 공이라고 가정하면, 물 분자 1개의
부피
는 100×${10}^{-30}$㎥가 된다.따라서 눈덩이 1개는 $\frac{500×{10}^{-6}}{100×{10}^{-30}}$≒5×${10}^{24}$개의 물 분자로 이뤄진 셈이다.5×${10}^{24}$개! 엄청나게 ...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L 볼츠만이 도입한 물리량이다 이상기체 1mol의 압력을 p,
부피
를 V, 절대온도를 T라 할 때 상태방정식 pV=RT가 성립한다 고전역학에 바탕을 둔 통계역학에서 같은 종류의 입자는 본질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이론 고전통계라고도 한다몇 가지 서로 다른 금속을 직렬로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소실점이라고 한다. 선도 마찬가지다. 수학적으로는 점의 연장이며 길이만 있고 면적과
부피
는 없다. 그러나 그림에서 선은 색의 경계를 나눌 뿐만 아니라 모든 물체의 윤곽을 결정한다.원근법은 바둑판 모양의 촘촘한 그물을 현실공간에 덮어씌운다. 눈높이를 기준으로 모든 사물이 소실점을 향해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상태방정식보다 실제 기체의 거동을 잘 나타낸다a와 b는 기체의 분자간 힘 및 분자의
부피
에 따라 정해지는 상수로, 반데르발스의 상수라고 하며 각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이 식은 a=b=0의 경우에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과 일치하고 실제기체가 이상기체로부터 어느 정도까지 벗어나는지를 잘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이용하면 구멍을 뚫지 않고도 땅 속을 볼 수 있다.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밀도나
부피
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을 쏴서 땅 속의 상태를 낱낱이 알 수 있다. 마치 몸 속을 볼 수 있는 초음파 내시경과 같다.바다 속 지도를 만드는 수중로봇땅 속과 마찬가지로 바다 속도 사람이 볼 수 없는 미지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