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과학동아 l1998년 10호
- 가장 큰 3개의 은하들(NGC55, 253, 300)이 있기 때문이다.봉황새(불사조)자리는 조각실자리 남쪽으로 우리나라 지평선에 걸리지만 밝은 별들이 있어 조각실자리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알파별은 2등성으로 오렌지색 거성이며 베타, 감마별은 3등성이다. 네덜란드 항해가 호우트만과 케이저가 1595-7년 ... ...
- 1. 주도세력 없는 공백기의 게릴라성 호우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이를 장마전선이라고 한다. 장마전선은 북태평양기단의 세력이 약한 6월 중순에는 일본 남쪽에 있다가 북태평양기단의 세력이 강화됨에따라 점차 북상한다. 7월중순쯤 되면 한반도의 중부지방까지 북상한다. 그러나 이때부터는 오오츠크해기단의 세력이 약화돼 장마전선도 점차 약해진다. ... ...
- 무인도 생존법과학동아 l1998년 08호
- 북쪽이고, 나이테의 간격이 크게 벌어진 쪽이 남쪽이다. 그 이유는 햇빛을 많이 받는 남쪽의 생장이 활발하기 때문이다.식수 만들기무인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식수를 찾는 것이다. 우선 무인도의 지형을 살펴보고 물이 흘러 내려올 수 있는 계곡을 찾아보는 것이 첫번째 방법이다. ... ...
- 5. 산꼭대기에 묻힌 노아의 방주과학동아 l1998년 08호
- 중위는 아라라트산을 정찰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눈덮인 산꼭대기를 돌아 남쪽으로 날아가니 사파이어처럼 푸른 호수가 나타났다… 나는 낮게 떠서 그 언저리를 몇번이나 돌았는데, 거기에는 둥그스름한 지붕으로 덮인 묘하게 생긴 배 한척이 얼음에 파묻혀 있었다. 엄청나게 컸다 ... ...
- 여름에 보는 천체 베스트 10과학동아 l1998년 08호
- 광도=3.3전갈의 독침 위치에 맨눈에 희뿌옇게 보이는 두 점이 있다.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2개의 큰 산개성단 M6과 M7이다. 위쪽의 M6은 6등급에서 10등급 사이의 별들이 곤충의 촉수 같은 V자 모양의 별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잠자리 모습과 닮았다. M7은 5-6등급의 별만도 5개나 모여있어 ... ...
- ④ 고대에도 태양관측 있었다과학동아 l1998년 07호
- 기록이 우리 역사에서 처음 나오는 때는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 3년(B.C. 35년)이다. "골령의 남쪽에 신비로운 빛이 나타났는데 그 빛이 푸르고 붉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전해 온다. 이 기록을 필두로 조선 중기인 1747년까지만 해도 무려 7백개 이상의 오로라 기록이 전해 온다. 오로라 기록은 ... ...
- 신들이 노닐던 신라의 옛 숲과학동아 l1998년 07호
- 도리천인가를 물었다는 내용이다. 왕은 낭산 남쪽이 도리천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낭산 남쪽이 도리천이라는 선덕여왕의 유언은 당나라를 몰아내고 삼국을 통일한 후 왕의 무덤 아래쪽에 있는 신유림(神遊林)에 문무왕이 사천왕사를 건립하고 호국신인 사천왕을 모셨을 때야 신하들은 왕의 유언을 ...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과학동아 l1998년 07호
- 같은 V자 모양의 별무리를 이루어 잠자리 모습과 더 닮았다.M7은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 천체로 남중고도가 서울 17도, 부산 20도에 불과하다. ‘알마게스트’에도 성운으로 기록됐을 만큼 일찍부터 알려져 있었다. 사진 오른쪽에 2개의 발광성운 NGC6357과 NGC6334가 보인다. 위쪽 NGC6357에는 ... ...
- 실리콘밸리로 떠난 사람들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실리콘밸리 취재를 위해 새너제이로 향했다. 샌프란시스코 도심에서 101번 도로를 타고 남쪽으로 한시간을 가면 새너제이가 나온다. 서니베일, 쿠퍼티노, 마운틴뷰 등을 지나 도착한 새너제이는 최근 '실리콘밸리의 수도'로 불리며 대외 활동을 가장 활발히 하는 곳이다. 1인 오피스 시대를 ... ...
- 5. 솔리톤과학동아 l1998년 06호
- 바다 속에서도 발견된다. 세계적인 석유회사 엑슨은 1975년에서 1976년에 걸쳐 미얀마 남쪽에 있는 안다만해(수심 1천90m)에서 해저유전을 찾고 있었다. 그런데 바다 속으로 내려가던 파이프가 갑자기 60m에서 200m의 깊이에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이 관측됐다. 당시 석유탐사에 참여했던 오스본 박사는 그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