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방식을 사용해 이런 단점을 보완했다. DNA를 적게는 1만 염기쌍에서 많게는 300만 염기쌍 길이로 잘라서 읽은 뒤 순서대로 조립해 나갔다. 반복되는 리드끼리 이어붙이고, 이어붙인 염색체를 다시 방향을 맞춰 연결하고 빈 공간을 메웠다. 여기서 이 연구원의 활약이 빛났다. 그는 일일이 사람이 ...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봤습니다. 상당히 진도가 많이 나갔습니다. 그러나 로봇을 완성하기까지는 아직 가야할 길이 멉니다. 이번 호에서는 로보트 재권V가 우리와 함께 지내기 위해서 꼭 필요한 기능 중 하나인 주변 상황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 보겠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로보트 재권V에게 어떤 기능을 ... ...
- [맛있는 수학] 추석맞이 베이글 인절미수학동아 l2019년 09호
-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죠. 너드슨 교수는 이처럼 어떤 원을 S¹이라고 할 때 빨대 길이 L에 대해 구간 [0, L]을 I로 표현하고 빨대를 S¹×I라는 식으로 나타냈습니다. 즉 S¹이라는 원을 0부터 L까지 I만큼의 구간으로 늘린 도형이 빨대라는 것이지요. 이 방식을 따르면 구부러진 빨대든 중간이 ...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바꿉니다. 보통 아기 얼굴은 둥글고 이마가 얼굴의 반을 차지하며 눈이 크고 입술과 턱 길이가 짧다는 특징이 있죠? 이에 맞게 어떤 얼굴 사진이든 바꾸는 겁니다.이만하면 한 가지 기술로도 다양한 필터를 만들 수 있겠죠? 얼굴을 찾는 기술은 필터뿐 아니라 더 많은 곳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김 수석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단어가 나왔을 때 뇌파가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oi:10.1038/nn1504 이외에 음절의 길이나 띄어쓰기 여부도 단어를 인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최 교수는 “모든 언어 인식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음절로 만들어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낙하할 시간에는 선박이 해당 지역을 벗어날 것으로 보고 아슬아슬한 발사를 강행했다. 길이 14m, 지름 1m, 연료를 포함한 무게가 6t인 KSR-Ⅲ는 연구진의 모든 걱정을 날리고 힘차게 하늘을 날았다. 최고 속도 초속 899m로 무려 231초 동안 비행했다. 우리나라 최초로 액체엔진 발사를 성공시킨 희열은 2 ...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약 2.5mg, 아무리 커봐야 몸길이 2cm 이하. 손바닥 벽치기 한 번이면 바로 죽고 마는 미미하고 나약한 존재. 그런데 해마다 약 70만 명의 인간을 ‘살해’하는 최악의 인간 킬러. 모기 얘기다. 1993년, 고교 시절 마지막 여름은 그리 덥지 않았다. 대신 흐렸고, 습했고, 비도 자주 내렸다. 학교가 산자락에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실력이 출중했다고 기록돼 있습니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1년의 길이가 365.2425일, 1달의 길이가 29.530593일라는 것까지 정교하게 계산했을 정도였지요. 데이터의 ‘개수’보다 중요한 ‘정확도’천문학자들의 뛰어난 수학 실력이 필요했던 이유는 또 있습니다. 중학교 통계 시간을 생각해 보세요.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망 지도 각각 완성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각각 제작하고, 이를 7월 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예쁜꼬마선충은 몸길이 1mm로 투명하며, 배양이 쉽고 발생 단계가 비교적 단순해 생명과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암컷(스스로 생식하거나 수컷과도 교미하는 자웅동체)은 302개, 수컷은 385개의 뉴런을 갖고 있어 인간 뇌의 수억 분의 1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해저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전 세계 바다의 98%를 탐사할 수 있다. 해미래는 길이 3.3m, 폭 1.8m, 높이 2.2m다. 무게는 4.2t(톤)으로 초대형 상어와 비슷하다. 물속에 들어가면 자신의 무게와 동일한 부력을 받도록 설계돼 원하는 지점에서 그대로 머물 수 있다. 해미래에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