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아인슈타인에게 “이 사건은 과학 부문에서 영국과 독일의 유대관계를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믿는다”고 고백하기도 했다.아인슈타인은 전쟁이 한창이던 1914년 자신의 평화주의적 신념을 선포했다. 당시 베를린의 모든 지식인은 독일 군대와 그 지휘자를 지지하고 독일 문화를 지켜야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닭은 중요한 실험동물이 됐기 때문이다. 특히 척추동물 발생학 분야에서 매우 큰
기여
를 했다.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경우 태아 발달 과정을 연구하기가 무척 어렵다. 이런 일들이 자궁 속에서 벌어지기 때문이다.그러나 닭은 수정란이 성체가 되는 모든 과정이 알속에서 일어나므로 실험에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간이 침팬지보다 말을 더 잘 하고 고기를 훨씬 더 많이 먹는 것도 인간의 진화에 크게
기여
한 것이다. 인간을 ‘고기를 더 많이 먹는 수다쟁이 침팬지’라고 할 수도 있다.그 변화조차 그렇게 큰 것이 아니다.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스반테 파보 박사는 사람과 침팬지의 언어 유전자(FOXP2)를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노벨상 후보에 올랐는데, 이는 작용양자 때문이 아니라 그의 복사공식이 원자론에
기여
했기 때문이었다.1906년 이후 드디어 그는 자신의 작용양자 개념이 기존의 고전물리학을 무너뜨릴 요소가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그런데 플랑크는 자신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주장하기보다는 수습하기에 바빴다.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결정하는 D유전자와 기능하지 못하는 C유전자가 8:2로 존재하고 둘이 대등하게
기여
한다고 가정하면 우세한 손과 관련된 통계를 설명할 수 있다. 즉 DD형은 100% 오른손잡이이고 DC형은 75%가 오른손잡이, 25%가 왼손잡이다. 한편 CC형은 각각 50%의 확률을 갖는다.1. 전체 평균의 경우D유전자와 C유전자가 8: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 있는 CERN의 능력이 정말 대단해보인다. 그만큼 CERN이 기초과학연구소이면서도 사회에
기여
하는 바가 크다는 인식이 돼있기 때문이 아닐까.아이마 소장은 “대중이 우리가 하는 일을 ‘느낄’ 수 있으며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소장은 2가지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약력, 전자기력, 강력을 종합한 통일장이론의 정립에
기여
한 공로를 인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엽기 ... ...
소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최근 소의 유전자지도가 완성돼 소의 질병을 치료하고 쇠고기의 영양을 개선하는 데
기여
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소의 유전자지도는 베일러의대 인간게놈연구소 연구팀이 만들었으며 세계 과학자들이 볼 수 있도록 무료로 공개될 것이라고 농무부는 밝혔다.이번에 유전자지도가 완성된 소의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에게 ‘디지털TV의 아버지’란 별명을 붙여주었다. 디지털TV의 표준화와 기술개발에
기여
한 공로로 그는 1999년 미국 방송통신 분야 최고 권위상인 클라크 상을 수상했다.또한 올해 초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소니의 회장등과 함께 ‘리더십과 혁신으로 세계 가전산업을 이끈 11명’에 꼽혀 미국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은 중국에서 30여 차례, 일본에서 2차례 출간되며 동아시아 의학의 교류에 크게
기여
했다. 동의보감은 기존 의서와는 달리 대분류 방법을 통해 전체 의학 체계를 새롭게 분류했다.신 교수는 “동의보감은 17세기 조선의 생명관, 신체관을 잘 확립한 사상서로 높이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