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흥미
호기심
주의
재미
감흥
취미
잼
d라이브러리
"
관심
"(으)로 총 7,1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인간의 목소리, 비가 오는 소리 등 국립공원 내의 모든 소리가 담긴다. 이 중 연구팀이
관심
있는 데이터는 코끼리가 내는 소리다. 코끼리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10Hz 내외의 초저주파로도 의사소통을 한다. 이 소리를 통해 코끼리의 수를 추정할 수 있고, 코끼리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 사람들과의 ... ...
2020년 과학동아 파이널 리포트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한 해였다. 과학기술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코로나19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 거의 모든
관심
이 집중됐다. 코로나19를 비롯해 올해 과학동아가 주목한 과학 이슈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2020 과학동아가 만난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한 해였다. 과학기술계도 예외가 아니었다. 코로나19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 거의 모든
관심
이 집중됐다. 코로나19를 비롯해 올해 과학동아가 주목한 과학 이슈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다. 1. 코로나192019년 12월 중국에서 최초 보고된 코로나19에 대해 올해 3월 세계보건기구(WHO)는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발전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14개 아이디어를 선정했지요. 여러 난제들 중 어과동의
관심
을 끈 첫 번째 난제는 포항공과대학교 박주홍 교수가 발표한 ‘미래의 로봇은 어떤 모양일까?’였어요.현재의 로봇은 구조적으로 몇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어요. 첫 번째는 ‘크기를 키우는 게 어렵다’는 ... ...
엉뚱하지만 엄청난 우주 연구들, NIAC로 보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있다면 평소에 항공우주공학의 기초가 되는 과목은 물론,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
을 가지면 좋겠습니다. 제가 새와 곤충에서 연구의 실마리를 찾았듯 말이죠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추진 장치에 대한
관심
이 매우 적어요. 이전에도 몇 번 NIAC 연구에 선정되었지만, 꾸준한
관심
을 받진 못했죠. 그래서 2016년에 크라우드펀딩으로 연구 자금을 모으고 후원자들에게 리포트를 보냈어요. 이번 NIAC에 선정된 연구도 크라우드펀딩 연구에서 이어진 거예요. Q우주선에 싣는 반물질은 ... ...
[JOB터뷰] 텔레비전에 나오던 아저씨 아냐? ‘두리랜드’ 임채무 회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손사레를 치며 “사람이 찾아오지 않으면 그게 슬픈 일”이라고 말했지요. 사람들의
관심
을 받아야 살아남는 배우이자 놀이동산 회장의 삶이 어떨지 어렴풋하게 느껴졌어요.두리랜드는 1990년 처음 개장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도록 운영되다 지난 3년간 문을 닫았어요. 무료 입장에 미세먼지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배우고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걸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겁니다. 여러분도
관심
있는 주제나 문제가 있으면 함께 나눠보는 경험을 해보세요. 설명하고 토론하는 습관도 길러보세요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둘레의 비율과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삼각파이라고 지었어요. Q 어떤 계기로 폴리매스에
관심
을 가지게 됐나요?폴리매스는 친구의 추천으로 들어왔어요. 6월호에 소개된 신예준(파스칼) 친구가 폴리매스 문제를 한번 풀어보라고 권했거든요. 처음에는 폴리매스 문제만 봤는데 아직 제가 도전하기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다우드나 교수의 연구실에서 RNA 연구를 시작할 당시, 다우드나 교수는 이미 크리스퍼에
관심
을 갖고 있었다. 크리스퍼를 처음 발견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그 중요성에 대해 대해 누구보다 많은 호기심을 갖고 있었다(그리곤 결국 2012년에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함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