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부시간"(으)로 총 2,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지게 장수? 바구니 장수? 예술가? 과학자? 탐험가?! 삐죽빼죽 사방으로 튀어나온 막대며, 듬성듬성 달려 있는 다양한 크기의 구슬. 형형색색의 이 바구니는 모양도 특이하다. 자신의 키만 한 바구니를 등에 가방처럼 메고 있는 그녀, 정체가 궁금하다!“이 작품은 미술관에 두면 ‘예술 작품’, 콘서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결정은 누구에게나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유독 결정을 두려워하고 미루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그들을 우유부단한 사람이라고 부른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눈 딱 감고 하나를 고르면 될 텐데…. 왜 결정 하길 두려워하며 우유부단해지는 걸까?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큰 실패를 불러우유부단한 사 ... ...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손 위에 살포시 앉은 새 한 마리가 보인다. 혹시 날아갈까 봐 살금살금 다가간다. 빛깔에 현혹돼 저절로 손이 먼저 나간다. 새는 움직이지 않는다. 슬쩍 날개를 만져 본다. 어라? 가짜다!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너! 종이였다. 만지면 퍼드덕하고 날아가 버릴 것 같았는데, 깃털이 모두 종이로 된 새 ... ...
- [수학뉴스] 수학 시험 잘 보려면 푹 자자!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어느 새 코앞으로 다가온 시험! 알아야 할 내용은 산더미인데, 공부할 시간은 잠잘 시간을 빼면 몇 시간이 남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잠을 자서 좋은 컨디션으로 시험을 봐야 할까요? 아니면 잠을 포기하고 마지막 순간까지 달려야 할까요? 그 답을 알려 줄 연구가 나왔습니다.캐나다 맥길대와 더글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매일 5만5000개가 넘는 새로운 악성코드가 인터넷 에 뿌려진다. 컴퓨터 앞에 앉아서 수시로 백신을 업데 이트 해도 모든 악성코드를 막을 수 없다. 초보적인 악 성코드는 쉽게 대응할 수 있지만 일류 해커가 마음먹 고 짠 악성코드는 분석가가 직접 붙어서 하나씩 코드 를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악 ... ...
- [과학뉴스] 현대인류, 1만 년 전보다 뼈 약해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현대인은 과거 인류에 비해 활동이 적다. 자동차도 타고 앉아서 일이나 공부를 해야 할 때도 늘었다. 반면 과거의 인류는 채집이나 사냥을 위해 끊임없이 움직여야 했다. 오랜 시간 운동을 하지 않으면 뼈가 약해지는데, 혹시 현대인과 과거의 인류 사이에도 뼈 구조 차이가 있을까. 실제로 현대인의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위이잉~. 띠, 띠, 띠, 땡!”전자레인지로 잘 알려진 ‘전기 오븐’의 계절이다. 불과 30초 만에 차가운 호빵에 김이 나게 만들고, 3분 만에 밥을 짓기도 한다. 그런데 이 전자 오븐은 사실 ‘우연한 사건’으로부터 탄생한다. 핵심 키워드는 ‘따뜻한 주머니’와 ‘초콜릿’이다.“이 찝찝한 기분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독자 기자가 대전으로 출동했다. 목적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독자 기자의 뜨거운 탐구 열기로 추운 날씨마저 한풀 꺾였다는 소문이 돌던데…. 그곳에선 과연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독자 기자를 가장 먼저 맞이한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인공위성을 직접 만나기 위해서는 꽤나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머리와 옷, 신발에 방진복을 덧씌우는 것은 기본이었고, 촬영장비는 모두 알코올로 닦았다. 위성을 멋지게 촬영하기 위해 SUV 차량에 가득 채워온 장비는 아무것도 반입할 수 없었다. 모든 채비를 마친 뒤에는 소독부스에 들어가 ...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올해 중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로 받게 됩니다.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애니메이션과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만들어 보게 되죠. 앞으로는 초·중·고등학생 모두로 확대될 예정이에요. 그런데 왜 모두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아야 하는 걸까요? 예술가나 수학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