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론"(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기와 생쥐, 같은 걸음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새도 나이에 따라 신경계가 내리는 명령이 동일하게 복잡해지면서 걸음마를 배운다고 결론 내렸다. 특히 사람은 손과 팔의 운동신경이 발달하면서 직립 보행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보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1월 18일자에 실렸다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연구팀은 6.6에 반올림을 해 MSN 메신저를 이용하면‘일곱 단계 분리’를 만족한다는 결론을 내렸다.한편 올 여름부터 SNS의 대표주자인 페이스북을 이용해 여섯 단계 분리 확인하는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페이스북의 가입자는 무려 7억 5000만 명이고, 사용자들은 평균적으로 130명의 친구가 있다고 ... ...
- [수학영재캠프] 작은 것은 아름답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수가 커지는 이유가 무엇일까?”그러다가 그는 그 원인이 곱셈에 있다고 나름의 결론을 내렸다.“그래, 자꾸자꾸 곱하니까 커지는 거야!”“곱셈만 없애 버리면 적어도 커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거야!”그래서 그는 자연수로부터 곱셈을 없애 버리기로 작정하였다. 즉, 자연수 중에서 수들을 ...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것이 된다. 또한 시간 지연 효과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빛보다 빠른 것이 있을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이 가정으로부터 빛의 속도는 원리적으로 속도의 상한이 된다. 빛의 속도에 대한 가정은 자연스럽게 시간과 공간이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맞물려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1909년 독일의 수학자 ...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중요한 전선만 정확히 잘라낼 리가 없어요.”팔짱을 끼고 고민하던 조수가 말했다.“결론은 하나뿐이에요.”“뭔데?”“우리는 시간여행에 성공한 거예요. 과거로 가서 원하는 일을 하고 돌아왔어요. 이 사실을 학계에 발표할 겁니다.”“그러겠지.”“미래에 시간여행이 보편화된 겁니다. ...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역시 칸 교수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최근 유전체(게놈) 연구에서는 다른 흥미로운 결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배성곤 하와이대 인류학과 교수와 한국의 게놈연구소(PGI)가 한국인 게놈으로 기원을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는데, 다른 게놈과 맞지 않는 유전자가 많이 나왔습니다. 중국인과 어떤 ... ...
- PART 1. 황당한 이그노벨상, 알고 보면 의미심장해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어깨까지의 높이와 앞발 발굽의 둘레만 알면 코끼리 몸 전체의 표면적을 알 수 있다는 결론이다. 각 코끼리는 표면적이 다르고 몸무게도 1880kg에서 5290kg으로 차이가 컸지만 위 식은 꽤 정확하게 들어맞았다. 이 연구는 2002년 이그노벨상 수학상을 받았다.X note재미있는 노벨상, 이그노벨상미국 ...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거리에서 중성미자를 쏜 것이었는데 2006년 측정 결과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결론이 나왔다. 하지만 오차가 100ns 정도여서 측정 결과가 불확실하다. 측정한 중성미자의 개수도 500개 미만에 불과했다.과학자들은 오페라 실험에서 이 결과를 검증하려고 했다. 2009년부터 3년간 총 1만 6000개 ...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10~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로 먼지 정도에 불과한 물질에서 어떻게 이런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을까.[지구에서 발견된 콘드라이트 운석.]동위원소비도 운석과 일치해어느 두 천체가 동일한 기원을 가졌는지 확인하는 데는 각 천체에 있는 동위원소 함량을 비교해보면 된다. 운석연구에 ... ...
- [남호영 선생님의 현문현답1] 유리수는 모두 순환소수인가?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무한소수인 유리수는 반드시 34와 같이 적당한 수가 계속 반복되는가라는 질문입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렇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지요. 유리수는 분수 꼴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나눗셈을 할 수 있습니다. 유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는 것은 분자를 분모로 나눠 몫을 써 내려가는 것이지요. 예를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