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
과학동아
l
201108
한 번에 먹이 위치를 기억했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7월 13
일자
에 실렸다.릴 교수는 “도마뱀이 먹이를 찾을 수 있을 거라고 아무도 예상치 못했다”며 “그동안 도마뱀의 인지력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를 뒤집는 결과”라고 실험의 의의를 말했다. 이번엔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08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라)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는 지난해 12월 9
일자
에서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러 과학자들의 주장을 보도했다. 생물지구화학을 연구하는 로저 서몬스 매사추세스공대(MIT) 교수는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보여줬을 뿐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07
비판도 많았다. 사이언스도 이를 의식해서인지 온라인판 게재 이후 6개월이 지난 6월 3
일자
에 정식논문을 실었다. 이렇게 시간이 걸린 것은 이례적이다. 특이하게도 비소 박테리아 논문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여덟 편의 짧은 논문도 함께 실렸다. 물론 울프-사이먼 박사의 해명도 덧붙였다. 사이언스의 ... ...
스트레스가 더 좋은 부모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07
보통 환경이 좋지 않으면 동물의 스트레스 호르몬이 많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의외로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높으면 부모역할을 잘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배제한 연구”라고 한계를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온라인판 6월 1
일자
에 실렸다 ... ...
재활용 포장용기 건강 해칠 수 있어
과학동아
l
201107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과학학술지 ‘포장기술과학’ 온라인판 6월 10
일자
에 실렸다.스위스 식품통제위원회의 분석화학자인 코니 그랍 박사는 “종이 포장 용기는 보통 한 번 쓴 포장용기를 재활용해 만드는데, 이때 인쇄된 잉크 성분이 남아있다”며 “이 성분 중 해로운 유기 오일이 ... ...
후각 교란해 모기 퇴치한다
과학동아
l
201107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cpA 뉴런을 교란하는 냄새분자의 작용 메커니즘은 3가지가 있다. caA 뉴런이 이산화탄소로 착각하게 하는 ‘모방냄새분자’, cpA를 둔감하게 만드 ... 유인제가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6월 2
일자
에 실렸다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07
뇌 부위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이 연구 결과는 ‘생체전자파학회지’ 2006년 10월 27
일자
에 실렸다.어린이가 전자파를 더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난 5월 23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파환경연구팀의 이애경 박사와 최형도 박사가 어른과 어린이의 전자파 흡수율을 비교한 결과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07
말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생물학 분야의 최고 권위 학술지인 ‘ACS 화학생물학’ 2월 28
일자
에 실렸다. 국제 특허 출원도 함께 준비 중이다. 신약과 치료의 표적을 찾다 “마이오세베린이나 리버신 같이 크기가 작은 화학분자는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약으로 개발하기 좋습니다.” 자연에 있는 ... ...
시집가려고 고향 떠났던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1107
[파란트로푸스 로부스투스의 두개골 모습. 치아에 남은 스트론튬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의 활동범위가 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과거 현생 인류의 조상들은 남성 ... 시작했지만 가설을 수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학술지 네이처 6월 2
일자
에 소개됐다 ... ...
'1박 2일' 촬영 현장이 실시간으로 중계될 수 있는 이유
수학동아
l
201106
회선을 연결하는 노드 몇 개만 잘 통제하면 된다고 영국의 과학 전문지 ‘네이처’ 5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때 필요한 노드의 개수를 백분율로 계산했다. 유전자 네트워크는 전체의 80%, 소셜 네트워크는 20%, 뇌의 신경 네트워크는 10%로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