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016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12
전등이 걸리기 시작했다. 다음 해인 1901년 5월에는 진고개 일대에 600개의 전구가
설치
됐다.건달불이 일상이 된 시기는 건천궁에서 첫 점등이 이뤄지고도 한참 뒤인 해방 이후였다. 그 뒤로 60여 년간 백열전구는 우리의 밤을 함께 밝혀왔다. 그러던 백열전구가 이제 곧 역사의 저편으로 사라진다. ... ...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12
‘칼’을 만들었습니다. 칼은 생물학적인 신경계를 가진 ‘뉴로 로봇’으로 쥐와 같은
설치
류의 뇌 모델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쥐의 의사결정 능력을 기록해 칼의 두뇌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했습니다. 쥐의 의사결정 능력은 쥐에게 음식을 주는 자극을 매일 달리해, 새로운 환경에 ...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912
암에 걸리지 않는 비결이 밝혀졌다. 아프리카의 굴에 사는 몸무게 35g의
설치
류인 벌거숭이두더지쥐(naked mole-rat)는 수명이 28년이나 돼 크기가 비슷한 집쥐의 수명인 4년보다 7배나 오래 살면서도 암에 걸리지 않는 특징이 있다.보통 쥐는 천적이 없는 사육환경에서 최대 90%가 암으로 죽는다. 사람도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12
엘리베이터는 일반 엘리베이터에 비해 로프와 카의 무게가 더 무겁다. 버즈두바이에
설치
된 엘리베이터는 로프 무게만 20t이다. 물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로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엘리베이터가 움직이는 승강로 곳곳에도 안전장치는 숨어 있다. 일반적으로 초고속 ... ...
연꽃잎에 이슬 맺히지 않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모습을 봤던 기억을 떠올렸다. 첸 교수팀은 물방울이 응축된 연꽃잎 아래에 스피커를
설치
해 연꽃잎을 초당 100번 진동(100Hz)시켰다. 그 뒤 고속카메라로 촬영하자 물방울이 연꽃잎에 닿자마자 튕겨 떨어져 나감을 알 수 있었다. 첸 교수는 “연꽃잎은 가늘고 긴 줄기 끝에 달려 있어 잎 표면에 진동이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12
한 층씩 차례로 완성돼 가자 신기해했다. 6각형 모양으로 조립된 철근 구조와 군데군데
설치
된 둥근 거푸집들이 마치 조립식 건축물처럼 보였을 것이다.아래층부터 한 층씩 철근 구조를 쌓으면 곧바로 거푸집 속으로 콘크리트를 붓고, 굳으면 거푸집을 떼어냈다. 어두운 회색빛이 도시를 한층 더 ... ...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12
현장에서 느끼는 연구행정에 대한 부담을 대폭 줄이며, ‘R&D성과혁신센터’를
설치
해 연구자들의 특허와 같은 성과물을 보호·확산시킬 계획이다.특히 그는 기초연구사업에서 처음 시도하는 ‘모험연구사업’과 ‘성실실패제도’를 강조했다. “모험연구는 국가적,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12
농도는 어디나 비슷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산화탄소 매장지에 위에 에어 스크러버를
설치
하면 포획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하지만 드넓은 대기에 퍼져 있는 이산화탄소를 붙잡는 건 만만찮은 일이다. 2005년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위원회(IPCC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2
통해 소리의 이동시간과 걸린시간을 측정해 소리의 속력을 구해보자.② 실험 장치를
설치
한다. 이때 마이크의 위치를 원통 입구에 정확히 일치시킨다().③ 파형 발생기를 펄스(pulse)파로 설정하고 주파수를 2000Hz으로 조정한 후 파형을 발생시킨다. 스피커를 통해 발생한 소리(pulse)의 일부는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12
별이 뜨는 시간은 지구의 공전에 따라 매일 4분씩 빨라집니다. 이 때 탑과 같은 건물을
설치
해 놓고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같은 시각에 같은 장소에서 떠오르기까지의 날 수를 세면 일 년이 며칠인지 알 수 있습니다.물론 일 년의 길이를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천체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