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
반지
바퀴
링크
연결
루프
유대
d라이브러리
"
고리
"(으)로 총 97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12
밀원의 거리를 알 수 있다. 그럼 방향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밀원의 방향은 8자의 두
고리
가 만나는 공통 직선과 관계가 있다. 8자를 그리는 방식은 밀원과 집을 잇는 선과 거리를 나타내는 동시에, 태양과 집을 잇는 선의 각도도 나타낸다. 그 방법은 그림에서와 같이 태양의 위치, 벌통의 위치,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11
있기 때문에 행성형이란 이름을 붙이게 된 것이다. 행성상 성운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고리
성운(M57)인데, 이 성운은 구경 15㎝의 반사망원경으로도 가운데 구멍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실제로 이렇게 생긴 것은 아니고 구형인 성운의 가장자리가 두터워 그렇게 보일 뿐이다. 여우자리의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11
과정에서 질량이 태양의 1.4배 이상 되는 별에서는 표면층의 물질이 밖으로 방출되어
고리
모양으로 많이 관측된다. 이를 행성상 성운이라 한다(사진7).일생에서 마지막에 가까운 행성상 성운의 단계를 지나면서 별은 급격한 수축을 일으켜 각설탕만한 크기에 질량은 1백만t에 이른다. 이런 천체를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11
세계각지 1백47명의 미토콘드리아DNA를 조사, 계통수를 그렸다. 미토콘드리아 속에는
고리
모양의 DNA가 들어있는데, 핵만이 전달되는 정자와는 달리 난자는 세포질과 핵이 함께 전달되므로 미토콘드리아 DNA를 조사한다는 것은 현생인류의 모계만을 조사한 것이 된다. 핵의 DNA는 부친과 모친 양쪽에서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11
것이 되는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토성
고리
면을 자세히 관측하고 스케치해 보자. 정말로
고리
가 얇아져 끝내 없어지는지……이달의 유성우■ 황소자리 유성우앵케 혜성의 모혜성인 이 유성우는 이달 5일을 전후해 절정기를 이루어서 시간당 10개 정도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유성우의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11
케로젠(kerogen)이란 물질의 덩어리가 형성된다. 기본적인 케로젠 분자는 벤젠형의 방향족
고리
가 케로젠을 여러 겹으로 둘러싸서 만들어진 덩어리다(그림 3). 이것이 석유의 조상인 기원물질이라는 학설이다. 지구상에 약 1.3×${10}^{12}$t이 존재하는 케로젠은 유기탄소의 가장 풍부한 형태로 알려지고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
과학동아
l
199310
못하고 심한 컴플렉스까지 느끼며 사는 사람도 많다. 이번 수능시험은 이런 악순환의
고리
를 과감히 끊어버린 것으로 평가된다.그렇다면 이번 수능시험은 과학 지식이 전혀 없어도 문제를 풀 수 있는가. 여기에는 견해 차이가 있다. 서울과학고 박희송교사(생물, 44)는 "과학지식 없이도 이번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년에 한번
고리
는 가늘게 되어 완전히 옆으로 세워져 전혀 보이지 않게 되어버린다. 매년
고리
의 변화를 관찰하거나 사진을 찍어두면 그 변화모양을 잘 알 수 있다.토성에도 소구경으로 보이는 위성 타이탄이 있지만 8등급이기 때문에 갈릴레오 위성만큼의 볼품은 없다. 구경이 15cm 20cm 등으로 커지게 ... ...
당신을 '컴퓨터 도사'로 만드는 OLE
과학동아
l
199310
도스전성 시대의 '컴퓨터 도사'칭호를 단숨에 얻게 된다. 클립보드-자료교환의 연결
고리
우리가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부분을 마우스로 선택한 후 이를 대상으로 복사(Copy)명령이나 잘라내기(Cut)명령을 내리면 컴퓨터에는 외견상 아무런 변화가 없어 보인다. 하다못해 복사나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10
많은 차이가 난다. 그 이유는 바로 전하량의 크기 때문이다.책받침을 마찰할 때라든지 문
고리
를 잡을 때 깜짝깜짝 놀라게 하는 전하량의 크기는 마이크로(${10}^{-6}$)쿨롱 정도의 크기다. 일상생활에서는 1쿨롱의 전하량을 경험하기가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그렇게 센 전기력이 생소하게 느껴지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