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뉴스
"
일도
"(으)로 총 53,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실거리는 정자, 초음파로 운동성 최대 266% 증가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사람의 정자 이미지. 위키미디어 제공. 저출산 시대 결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여성은 물론 남성의 가임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남성의 가임력에 정자의 운동성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운동성이 낮으면 정자가 활발하게 활동하지 못해 임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 ...
X선으로 관측한 우주 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우주론 벗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엑스선(X-RAY) 파장으로 우주를 촬영하는 망원경 '이로시타(eROSITA)가 촬영한 천체.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 제공 X선(X-RAY) 파장으로 우주를 촬영해 분석한 결과가 학계에 새롭게 보고됐다. 이를 토대로 천문학자들이 우주의 진화 과정을 재구성한 결과 기존 우주론을 벗어나는 새로운 발 ... ...
한화, 국내 최대 민간발사체 생산시설 착공… “2025년부터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스페이스허브 발사체 제작센터 내부 조감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국내 최대 민간 발사체 생산 시설을 짓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5일 전라남도 순천에서 발사체 제조 시설인 ‘스페이스허브 발사체 제작센터’(가칭)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전남 순천 ... ...
美 민간 개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오디세우스를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이 14일 발사를 앞두고 발사대에 서있다. 스페이스X 제공. 미국 민간 우주기업이 개발한 두 번째 달 착륙선이 우주로 발사됐다. 우주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즈가 자체 개발한 달 착륙선 ‘IM-1’이 15일 오전 1시 5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 ...
아동 장애로 알았는데…틱장애 신규 환자 10명 중 4명 '성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틱장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반복적인 행동이나 발성이 나타나는 ‘틱장애’의 국내 발생률이 10여년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인에서 발병률이 급증했다. 서울대병원은 홍순범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김미숙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 연구팀이 국민 ... ...
전공의 집단행동 조짐...복지부 “연속 36시간 근무 축소 추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료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을 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제공.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대한 전공의 및 의대생 집단행동 조짐이 보이고 있다. 보건건복지부는 전공의 수련·근무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 ...
흡연은 금연 후에도 몸에 흔적 남긴다…"면역반응에 큰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흡연자가 담배를 피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금연 후에도 수년간 지속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를 피우는 동안 인체 면역 반응에 일어난 변화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흡연은 나이나 성별, 유전 요인만큼 면역 반응에 큰 영향 ... ...
홍합과 누에고치로 장기 출혈 막는다…새로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홍합 접착단백질과 누에 실크단백질 기반 흡수성 이중층 나노섬유막 접착 지혈제가 작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홍합과 누에고치를 사용한 단백질 생체소자 기반 지혈제를 개발했다. 기존 지혈제로 사용되는 거즈나 의료용 밴드보다 출혈 부위에 안정적으로 달라 ... ...
소고기 들어간 쌀알, 국내 연구진이 개발…새 단백질 공급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동물성 근육과 지방 세포를 심어 배양한 쌀알의 모습. 연세대 제공. 쌀알과 동물세포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음식이 등장했다. 새로운 맛과 풍미를 내는 단백질 공급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매터’에 쌀알과 소의 세포를 통합해 만든 배양 ... ...
방사선 유발 DNA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방사선 치료 안전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방사선 치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방사선이 정상세포에서 만들어내는 돌연변이를 세계 최초로 명확히 규명했다. 안전하면서 효과적인 방사선 치료 기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국내 공동연구팀이 방사선이 인간 및 생쥐의 ... ...
이전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