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793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를 솔로로 보내기 싫다면 ‘AI연인’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8.12.22
기술이 필요합니다. 장 수석연구원은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일일이 설정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음성인식에도 딥러닝 학습법을 적용하면서 현재 AI의 음성인식 수준은 (100점 만점에) 96점 정도까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말했습니다. 주변에 소음이 있어도 음성을 인식하는 ... ...
[과학게시판] 연구윤리 포럼 2018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따른 생물, 문화 및 과학기술발달사를 탐구하고 인류의 위대한 여정을 고찰하기 위해
기존
에 자연사관 2층에 조성했다. ■ 한국화학연구원과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은 20일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질병관리본부에서 감염병 대응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식(MOU)을 개최했다고 ... ...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종종 혼동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해보니 이 두 표정에서 가장 많이 에러가 났다.
기존
근전도 기술 중에는 최고 97%까지 정확도가 올라가는 것도 있었지만, 재현하는 표정 수가 적었다. 임 교수는 “근전도 패턴을 분석하는 데 전혀 다른 새로운 수학을 도입하고 분석 방법을 바꿔 정확도는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복잡한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뇌를 닮은 칩이 개발되면
기존
컴퓨터보다 훨씬 작고 가벼우며, 적은 전기로 작동하는 새로운 컴퓨터가 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스 터빈 연소기 내부의 모습.-미국육군연구소 제공 ARL 소속 과학자들은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와 ... ...
“한국은 R&D과제 성공률 99.7%, 그러나 투자하고 싶은 스타트업 없는 나라”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19일 토론회 모습. 윤신영 기자 신선업 육성에서도 고언을 했다. 하 부원장은 “
기존
신산업 정책이 일관성이 부족하고 국민적 공감대가 부족했다”며 “선진국 대비 민간 서비스 R&D 투자 비중이 적어 혁신적 서비스 출시가 적은데, 이것이 성장 동력화를 지연시키는 데 일조하고 있다”고 ... ...
음식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 주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뇌를 속아 넘어가게 한다.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제품도 나왔다. 하지만
기존
장비는 배터리와 전선, 전기 신호 발생장치가 들어가 크기가 크고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몸에 이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위의 연동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을 ... ...
자가면역질환 루푸스 근본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임 교수는 “향후 Tfh2 세포의 생성과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면 제한적인 효능을 가졌던
기존
약물의 한계를 넘는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Tfh2 세포가 루푸스뿐만 아니라 항체에 의해 매개되는 다른 자가 면역질환과도 관련 있는지 추가 연구를 수행할 ... ...
도심 고층건물벽 숲으로 바꿔 미세먼지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고농도 구역으로 특별 관리하자”고 제안했다. 어린이집 등 시설 입지를 제한하고,
기존
시설은 환기를 강화할 것도 권고했다. 도심 미세먼지 농도를 빠르게 예측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기술을 이용해 미세먼지를 조기에 지역별로 좀더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도시 곳곳에 미세먼지 ... ...
딥러닝 AI 쉽고 빠르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표현하는 것과 빠르게 학습시키는 것 중 한쪽에만 특화된 기술이다. 야누스 시스템은
기존
명령형 시스템처럼 쉬운 프로그래밍 모델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빠르게 AI를 학습시킬 수 있다. 시스템이 자동으로 명령형 프로그램을 빠른 학습이 가능한 심볼릭 그래프로 변환하고 최적화를 수행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생존에 꽤 중요함을 시사한다. 과학자들이 작은 항체에 주목한 건 덩치가 작기 때문에
기존
항체가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도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독감 바이러스의 경우 헤마글루티닌 줄기의 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 부위를 항원으로 하는 작은 항체가 ... ...
이전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