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루스 데 안드레아스 프라도 교수는 포도밭 토양의 배수성이 와인의 맛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해 1월 13일 식품분야 전문저널인 ‘농업과 식품과학’에 발표했다. 그는 ‘붉은 그르나슈’라는 포도품종을 키우는 스페인의 두 포도농장에서 2004년부터 2년 연속 포도를 수확했다. 그리고 동일한 ...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만들었던 것. 그가 세포수준이라는 방에 갇혀있었다면 밝혀낼 수 없던 새로운 사실이었다.김 교수가 뇌혈관 연구에 뛰어들 당시 뇌혈관은 미개척분야였고, 그나마 연구가 활발했던 뇌신경은 뇌혈관과의 연결고리를 갖지 못한 채 단독으로 연구됐다. 그러나 이제는 뇌의 뉴런에 뇌혈관이 미치는 ... ...
- 달팽이와 눈 맞다과학동아 l2008년 06호
- 특히 큰더듬이 끝엔 둥글고 검은 눈이 붙어있다. 그 눈이 나를 응시하는 것 같다. 사실 달팽이는 내 얼굴을 흑백으로 인식한다. 색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없기 때문이다. 달팽이에게 다가가고 싶어 손끝을 갖다 대면 곧바로 눈을 얼굴 속에 감추어 버린다. 실은 감각기관을 보호하려는 본능이지만, ... ...
- 홀라당~ 뒤바뀐 달걀?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저 점이 바로 병아리가 되는 부분이에요. 눈 또는 배아라고도 하죠.”“흠~, 새로운 사실을 알았네요. 저는 병아리가 노란색인 건, 노른자가 병아리로 변하기 때문인 줄 알았어요.”“후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잘못 알고 있지요. 또 저 끈은 알끈이라고 하는데 노른자 양쪽에 붙어 있어, ... ...
- 해조류가 스트레스 받으면 구름 낀다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추적한 결과 대기 중의 수증기가 구름으로 생성될 때 필요한 응결핵으로 쓰인다는 사실을 밝혔다.보통 바닷물에서 증발된 소금 입자나 토양 입자가 구름의 응결핵으로 사용된다. 여기에 켈프에서 나온 산화요오드까지 더해지면 평소보다 응결핵이 많아져 구름이 잘 만들어진다. 이때 생성된 구름은 ...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성운은 한 원호상(圓弧上)에 있고 바깥쪽으로 팽창운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사실에서 망상성운은 일찍이 폭발된 초신성이 분출한 가스의 전선이 주위의 성간운과의 충돌에 의해 자극되어 발광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전파성 제1호 1946년에 은하전파와는 다른 전파원으로 ... ...
- 한글은 자음의 색이 선명해요!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눈빛으로 바라보더라고요.” 이씨는 다른 사람들은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뒤 자신의 경험이 단순한 상상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모니터의 숫자를 보고 색을 말해보세요.” 이씨는 노란색으로 쓴 ‘3’을 보고는 바로 “노란색”이라고 대답했지만 파란색으로 쓴 ‘ ... ...
- PART2 미지의 질병, 광우병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먹이는 것 금지. 광우병 감염 소 도살.1989 : 광우병이 쥐에 전염될 수 있다(종간 전염)는 사실이 밝혀짐. 아일랜드에서 광우병 소 발견.1991 : 프랑스, 포르투갈에서 광우병 소 발견.1995 : 19세의 스테판 처칠이 인간광우병의 첫 희생자로 추정됨.1996 : 영국 보건장관이 광우병과 인간광우병 사이의 연관 ... ...
- 스무 살 성인 된 V3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안철수연구소를 지탱한 원동력인 V3가 20년 동안 살아남았다는 사실에 안 의장이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일 법도 하다.이날 안철수 의장은 ‘깜짝 발표’를 했다. 그가 안철수연구소를 떠나 오는 2학기부터 KAIST 비즈니스 이코노믹스 프로그램에서 교수로 학생들을 ...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과학동아 l2008년 06호
- A, G, C, T라는 일종의 4진수 조합만으로도 거의 무제한적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컴퓨터가 0과 1이라는 2진수의 조합만으로 모든 연산을 수행하고 정보를 저장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놀라운 일은 아니다.문제는 이 염기서열을 어떻게 판독(시퀀싱)하느냐는 점이었다. 이때 ... ...
이전811812813814815816817818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