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골목길 튀어나올 사람 미리 본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운전 중에 골목에서 갑자기 사람이 튀어나온다면? 생각만으로도 아찔한 사고에 대비해 시야가 닿지 않는 곳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영국 ...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온라인판 2015년 12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 [News & Issue]화성, 고리 없다(X) 생길 거다(O)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무거운 파편은 화성으로 떨어지고, 가벼운 것들은 화성 주위를 돌며 고리를 형성해 1억 년 가까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미탈 연구원은 “토성, 목성 같은 외행성의 고리는 얼음으로 구성돼 지구에서 비교적 잘 보이지만 화성의 고리는 암석 파편으로 이뤄져 지구에선 관측하기 힘들 것”이라며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3. 스킨십이 아이의 정서발달에 중요함을 밝힌 실험미국의 심리학자 해리 할로는 1958년에 부모와 아이의 신체 접촉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했다. 그는 갓 태어난 새끼 붉은털원숭이를 어미로부터 떨어뜨려 우리에 가뒀다. 그리고 난 뒤 천으로 만든 가짜 어미와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20세기 초반 유전학자들과 진화학자들은 서로 치고 받으며 무려 30년을 싸웠다.1930년대 초반 로널드 피셔, 슈얼 라이트, J.B.S. 할데인 세 사람이 다윈과 멘델의 대화합을 끌어냈다. 단단한 입자 같은 유전자들이 키, 몸무게 같은 연속적인 변이도 만들며, 여기에 자연 선택이 작동함이 수학적으로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뉴턴과 맥스웰의 물리학을 넘어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100년이 지난 21세기 현재, 다시 새로운 물리학이 꿈틀거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Part 3 ... ...
- [Career]도전! 유니스트 12 ‘촉매’처럼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구자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연구자와 좋은 관계를 맺고, 활발한 토론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실제로 김 교수가 2015년 11월에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발표한 논문은 같은 학과 송현곤 교수와 같이 연구한 결과다. 2014년 12월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한 결과는 신지영 동의대 교수 등과 함께 한 연구였다. 이런 ... ...
- 꼭꼭 숨어 있는 사인곡선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사인곡선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이것을 2014년과 2015년 두해에 걸쳐 살펴보면 약 1년을 주기로 그려지는 사인 곡선의 모양을 더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이 외에도 우리 주위에는 사인 곡선이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호수 위의 물결과 놀이공원 대관람차의 높이 변화,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잇는 교수가 됐다는 건 모리아티가 이미 다른 학교에서 교수가 됐다는 뜻이다. 즉, 1863년에 그의 나이는 이미 21세 이상이었다는 뜻이다.어느 학교의 교수가 됐을까?소설에 따르면, 모리아티는 작은 대학에서 연 700파운드를 받게 됐다. 이 학교는 문을 연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좋은 교수를 초빙하기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좀 더 작은 종이로 갤리번과 똑같은 횟수만큼 접는 데 성공했다. 인천 가좌고 2학년 김나연, 노은미, 심재석, 장혜원, 조민지 학생은 가을에 열릴 학술제를 위해 작은 동아리를 결성했다. 학술제에서 발표할 연구주제로 뭐라도 떠올려야 하는 상황에서 찾은 건 ‘브리트니 갤리번의 종이접기 공식’. ... ...
- [News & Issue]천체물리학저널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밝힌 에드윈 허블, 블랙홀을 수학적으로 계산한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가 각각 20년씩 편집장을 맡은 121년 역사의 유서 깊은 학술지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5.993으로 ‘매우 높은 편’. 자매지인 ‘천체물리학저널 증보(ApJS)’, ‘천체물리학저널레터(ApJL)’ 역시 천체물리학 분야 최상위급 ... ...
이전811812813814815816817818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