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설명할 길이 없었다. 그런데 지난 8월 17일 ‘네이처’에 이를 증명하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
가 실렸다. 중국에서 발견된 한 어류 화석이 무악어류에서 유악어류로 진화하는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슈유 제지안겐시스(Shuyu zhejiangensis )라고 이름 붙은 이 4억 년 전 어류는 ... ...
새로운 일가를 이룬 이탈리아참새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입증된 적은 없었다.연구팀은 이탈리아참새의 혈액 샘플에서 D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탈리아참새가 스페인참새와 집참새의 혼종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같은 지역에 사는 이탈리아참새와 스페인참새가 서로 교미하지 않는 것을 관찰했다. 두 종은 겉모습도 다르며, 번식 시기도 차이가 있다 ... ...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행성의 질량은 별빛가림 방법으로는 알 수 없어 별의 시선속도 변화를 이용했다. 계산
결과
케플러-16b는 갈색왜성과 같은 어두운 별이라기에는 질량이 작았다.이 외계항성계를 이루는 두별의 질량은 큰 별이 태양의 69%, 작은 별이 태양의 20% 정도다. 케플러-16b는 두 별 주위를 229일마다 한 번씩 돌고 ... ...
게임, 뇌에 도움 안 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원칙을 어기는 것”이라고 말했다.숙련된 게이머가 초보보다 인지 능력이 뛰어나다는
결과
에도 반박했다. 부트 교수는 “게임을 했기 때문에 인지 능력이 좋아졌다는 증거가 없다”며 “원래 뛰어난 사람이 게임을 하게 된 것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게임을 안 해본 사람으로 하여금 액션 게임을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줄기세포는 뇌, 혈관, 근육 등 우리 몸에 있는 모든 세포로 변할 수 있어 이미 망가진 조직을 대체할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세포는 이런 분화능 ... 줄기세포를 일반세포로 쉽게 바꿀 수 있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연구
결과
는 학술지 ‘셀’ 9월 15일자에 실렸다 ... ...
귀금속의 고향은 우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금처럼 지표면에 있는 귀금속의 상당수가 수십 억 년 전 지구에 떨어진 운석 때문에 생겼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귀금속류 원소는 대부분 원소번호가 높고 무거 ... 가능하므로 맨틀의 상태를 알아보는 연구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
는 ‘네이처’ 9월 8일자에 실렸다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용했다. CERN의 양성자 가속기에서 나오는 입자빔이 우주 방사선 역할을 했다.실험
결과
지금까지 하층 대기의 에어로졸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던 수증기는 관측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의 극히 일부만 설명할 수 있었다. 대신 우주 방사선의 이온화 효과가 에어로졸 형성을 크게 ... ...
우리은하 나선팔은 교통사고 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때를 가정한 시뮬레이션
결과
가 실제와 비슷했던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결과
는 질량이 작은 은하가 합병되는 현상이 일상적인 일이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고 밝혔다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 백 교수는 “서울대에 교수로 처음 부임했을 때”라고 말했다. “학생이나 포닥 때
결과
가 빨리빨리 나왔어요. 그런데 막상 교수가 되니까 실험 외에도 할 건 많고, 연구비는 없고, 학생들은 안 따라 오고, 급한 마음에 답답했어요. 그때 정말 힘이 되어준 게 김 박사예요.” “아내가 뭍에 나온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처음으로 개발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물체는 각 부분에서 반사된 빛이 합쳐진
결과
다. 같은 물체에서 출발한 빛이라도 눈에 도달할 때는 먼 위치의 빛이 조금 늦게 도달하기 때문에 거리감이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홀로그래피는 이렇게 복잡한 빛 정보를 필름에 저장해 그대로 되살리는 ... ...
이전
807
808
809
810
811
812
813
814
8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