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스페셜
"
학회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인공지능(AI) 기업인 루닛은 이달 2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
학회
에서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개발한 AI로 면역관문억제제의 치료 효과를 정확히 예측한 결과를 처음 공개했다. 사실 의료 AI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미국의 IBM가 2011년 개발한 왓슨이다. 왓슨은 의학교과서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
2019.06.04
적이 없다고 한다. 관련 분야(물질·반물질 비대칭성)의 대가임에도 영어를 못해 국제
학회
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심지어 노벨상 수상식에도 안 가겠다고 해 주변 사람들이 애를 먹었다는 후문이다. 대학원 때나 기자를 할 때 외국 명문대에서 유학하고 외국 대학이나 연구소에도 꽤 있어서 업적이 ... ...
녹내장 조기 진단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섬유가 손상된 부분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 연구 결과를 '미국 안과
학회
지' 5월호에 발표했다. 녹내장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안압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되는 것이다. 그간 학계에서는 안압에 의한 스트레스가 시신경의 신경섬유가 눈 뒤쪽으로 빠져나가는 부분에 ... ...
바이오마커가 못찾은 약효 통할 환자 52%…국산 의료AI 면역항암제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업체인 루닛과 삼성서울병원은 내달 2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
학회
(ASCO)에서 공동 개발한 의료용 영상정보 분석 AI인 '루닛스코프'를 이용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면역관문억제제 반응성을 예측한 결과를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면역관문억제제는 환자의 면역계를 ... ...
'80년대초 첫 제기된 게임중독, 만장일치 질병 인정까지' 과학적 논쟁 아직 진행中
2019.05.26
다만 전문가들은 게임중독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게임
학회
와 게임협회 등 88개 단체로 이뤄진 게임질병코드 도입 반대를 위한 공동대책 준비위원회는 25일 "WHO가 게임중독을 질병코드로 지정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며, 국내 도입을 반대한다"는 성명서를 냈다. ... ...
게임중독은 질병
동아사이언스
l
2019.05.26
예술적 생활에 완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 아동의 권리를 박탈하는 행위"라며 "미국 정신의
학회
의 공식 입장과 같이 '아직 충분한 연구와 데이터 등 과학적 근거가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너무 성급한 판단"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이번 조치로 인해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대돼 ... ...
[Science토크] 우주를 향한 ‘골드러시’…과학자들 “태양계를 국립공원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산업이 자원을 바탕으로 우주 경제로 전환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국제우주
학회
학회
지인 ‘악타 아스트로노티카(Acta Astronautica)’ 최신호인 4월 16일자(현지시간) 온라인판에는 이같은 우주 광물 채굴 경쟁으로부터 태양계를 보호하지 않으면 500년이 채 지나지 않아 태양계 광물 자원이 고갈될 ... ...
[2019 ICAN]“공학과 과학이 만날 공간,젊은 학자의 아이디어가 뇌공학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반대로 신호를 주어 자극하는 기초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번
학회
에서는 전극을 나노 크기로 최대한 작고 안정적으로 제작해 뇌과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 기술을 선보였다. 그가 속한 프라이부르크대 마이크로시스템공학연구소는 뇌 측정 및 자극 분야 기초연구의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KIST)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교수는 이달 20~21일 KIST에서 열린 신경공학 분야 국제
학회
인 ‘국제신경공학컨퍼런스(ICAN)’ 참석차 방한했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이 교수는 2009년부터 미국 스탠퍼드 의과대학·공과대학 교수로 일하며 뇌 과학 분야에서 인정받는 젊은 연구자다. 라이나생명 50대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가해 반응을 관측할 도구가 필요한 이유다.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뇌 관련
학회
지만, 참가자들 중에는 공학자들이 많다. 전자공학이 전공인 이 교수는 뇌의 부위별 활성도를 측정하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에 광유전학을 결합해 자극에 대한 반응을 실시간 관측할 수 있는 광유전학fMRI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