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스페셜
"
곳
"(으)로 총 2,51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일본대지진 10년] "일본 원전사고 뒤이은 과도한 공포, 냉정한 대응 어렵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연구원은 ‘대규모 환경방사선 모니터링’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후쿠시마 지역 2200
곳
의 샘플 1만1000개의 토양샘플을 분석한 결과를 설명했다. 미카미 연구원은 “예상보다 2~3배 빠르게 세슘이 사라지고 있다”며 “도심 지역은 산악 지역과 비교해 제염 작업을 통해 세슘 수치가 많이 내려간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접근했다가 초당 4.58km의 속도로 지구 근방을 통과했다. 지구와 달 거리의 43배 떨어진
곳
까지 접근했다가 스쳐지나친 것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월부터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OWL-Net)’을 활용한 추적·관측을 통해 이달 10일 관측에 성공하고 영상을 공개했다. 소행성 아포피스는 ... ...
[과학게시판] AI시대 이공계 교육을 위한 혁신 방안 포럼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극지정책 아카이브'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극지정책 아카이브는 기존에 여러
곳
에 흩어져 있던 극지정책 자료를 모아 정리한 것으로 국내 극지정책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극지정책과 국제기구의 최신 정보 등을 담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앞으로 남극세종기지 등에서 일하는 연구원들이 ... ...
[동일본대지진 10년] 후쿠시마 사고 발생부터 영구 폐로 결정까지 19일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주입이 이어졌다. 원자로 2개에서 부분적인 붕괴 가능성이 처음 대두됐다. 원전 인근 4
곳
의 방사선량은 기준치를 넘지 않았다. 3월 14일 원전 냉각 작업이 계속되며 해수와 붕소(핵 연료 감속재)를 1호기 원자로에 주입했고, 2호기 노심 분리 냉각 작업도 진행됐다. 3호기에도 동일한 냉각 ... ...
[동일본대지진 10년]지금도 한반도 바다 32
곳
에선 그날 흔적을 쫓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동해·남해·서해에서 해수 시료를 확보해 방사능 농도를 조사하는 정점은 총 32
곳
이다. 105-11 정점은 동해 울릉도 근처의 해수 채집 지점 중 하나다. 정점마다 분석 대상은 다르다. 가령 105-11 정점은 표층부터 수심 2000m까지 수심별 방사능 농도를 조사하는 정점인 동시에 분기별로 해수를 채집해 ... ...
지역사회까지 퍼진 영국·남아공 변이, 우세종 바뀔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다양하게 유입됐다. 그러나 국내지역감염에서는 GH형이 거의 100%를 차지했다. 세계 다른
곳
을 보면 아시아는 GR형이, 유럽은 G형, 북아메리카는 GH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바이러스 유형이 전체의 70%를 넘긴 경우가 없을 정도로 바이러스 분류가 다양했다. 한국은 GH형이 76.6%를 차지해 가장 ... ...
집단면역 향한 각국의 백신 접종 속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200명 분을 추가로 공급받을 예정이고 5월부터는 접종센터 약 250
곳
, 위탁의료기관 약 1만
곳
에서 본격적인 접종을 시작한다. 당초 방역당국은 올해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해외 변이 바이러스 유입, 백신 수급상황, 접종률 등을 이유로 형성 시기가 미뤄질 수 있다고 보고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낮다는 연구 결과를 냈다. 독일 연구팀은 지난해 6월 이탈리아와 스페인 병원 7
곳
의 중증 환자 1980명과 경증이나 무증상 환자 2000여명을 분석한 결과 혈액형 A형이 중증 증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50% 높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발표했다. O형 혈액이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케이블 일부가 끊어져 붕괴 위험에 처하자 해체를 결정했다. NSF는 엔지니어링 회사 2
곳
에 의뢰해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붕괴 원인을 찾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새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원인 조사가 올해 9월까지 진행될 예정이고 12월에 최종 보고서가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현상을 가진 퀘이사를 전파가 밝은 퀘이사로 부른다. 퀘이사 중에는 P172+18보다 더 먼
곳
에서 관측된 것도 있지만 제트까지 가진 퀘이사로는 P172+18이 가장 먼 것으로 기록됐다. 퀘이사 중에서는 약 10%만 제트 현상을 보인다. P172+18는 지난 2015년 하와이 할레아칼라 천문대의 전천(全天) 탐사 광학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