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돌림병
역병
유행병
전염성질환
매독
시체병
전염성 질환
뉴스
"
전염병
"(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걸리면 100% 폐사 아프리카돼지열병 한국 상륙..."인수공통 감염병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9.09.17
사이에 감염이 되지는 않지만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걸리면 100% 폐사하는 제1종 가축
전염병
에 해당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입 경로가 파악되지 않고 있어 다른 양돈 농가에 더 큰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7일 "경기도 파주시의 한 양돈 농장에서 폐사한 어미 돼지 다섯 마리 ... ...
인간 항생제 남용으로 애꿎은 돌고래도 피해
연합뉴스
l
2019.09.17
미국 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FAU)에 따르면 이 대학 하버브랜치 해양학연구소의
전염병
학자 애덤 섀퍼가 이끄는 연구팀은 플로리다주 인디언강 석호 주변의 큰돌고래(bottlenose dolphin)들에서 검출된 병원균을 검사한 결과, 항생제 내성이 심각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저널 ... ...
韓美연구팀, 패혈증 2시간 내 검출하는 진단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6
한국과 미국의 과학자들이 포함된 국제 연구진이 패혈증과 조류독감과 같은 동물매개
전염병
을 2시간 내에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박성규 재료연구소 표면기술연구본부 나노표면연구실 책임연구원과 임형순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연구팀은 패혈증이나 조류독감을 약 2시간 이내에 ... ...
개구리 피부로 5000만명 살렸다…인류 구한 황당한 과학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000만 명을 살리다: 데이비드 새처 콜레라는 연평균 10만 명의 사망자를 내는 무서운
전염병
이다. 조기에 치료를 받으면 사망률은 1%로 떨어지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절반이 사망한다. 데이비드 새처 마운트시나이의대 소화기내과 교수는 1965년 방글라데시에서 콜레라를 연구하던 중 개구리 ... ...
"추석 전후 조심하세요"…가을철 유의해야 할 감염질환 톱3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말했다. 2009년 중국에서 최초로 발견된 뒤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에 퍼져 있는 신종
전염병
SFTS도 진드기가 옮기는 감염질환이다. 작은소참진드기가 사람에게 SFTS 바이러스를 전염시킨다. 크기가 1mm가 되지 않고 흡혈 뒤에도 2~3mm 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아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2명으로 늘어났고 1990년부터 1995년에는 무려 104명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다발성 경화증은
전염병
이 아니다. 옛 로마제국의 영토, 사르데냐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 비극의 시작은 기원전 5세기 카르타고의 사르데냐 침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르타고의 침공 주둥이에 ... ...
환경부 "일회용기저귀 의료폐기물서 제외 추진"…환경단체 "감염위험" 반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감염성균 확산 가능성을 낮춰야 한다"며 "추후 여러 역학조사와 연구를 통해 기저귀가
전염병
확산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요양병원뿐 아니라 일반 병원, 가정에서 배출되는 기저귀까지도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노로바이러스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연구를 이끈 켈리 레이놀즈 애리조나대 멜앤에니드주커맨공중보건대학장은 "
전염병
을 일으키는 병원체를 수돗물에서 찾아내는 기술은 공중보건을 지키는 데 필수"라며 "이 기술이 전 세계 노로바이러스 발생율을 줄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폰용 노로바이러스 검출 ... ...
의료폐기물 대란 '일회용기저귀'…과학계 "분리 수거후 즉시 소각만이 답"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인해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회용 기저귀 폐기물로 인해 실제로
전염병
확산 가능성이 높은지 전파속도는 얼마나 되는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당장은 일회용 기저귀를 다른 쓰레기와 따로 분류해 빠른 시일 내에 소각시켜 병원균 감염 위험을 낮춰야 한다”고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42명으로 늘어났고 1990년부터 95년에는 무려 104명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다발성 경화증은
전염병
이 아니다. 옛 로마제국의 영토, 사르데냐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 비극의 시작은 기원전 5세기 카르타고의 사르데냐 침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참고자료 Susan Pinker (March 2012). "The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