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201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크고 정교한 '미니 뇌' 생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안나 박사와 진윤희 연구교수, 안연주 학생연구원이 주
저자
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 5일 게재됐다 ... ...
[의학게시판] '조울병에 대한 거의 모든 것' 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있는 환자, 보호자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책이다. 박 교수를 대표
저자
로 국내 조울병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바이올라포럼 멤버 37명이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이화의료원 이대목동병원은 4일 ‘감염병 특화 개방형 실험실’ 1차 참여기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감염병 ... ...
남극 황제펭귄도 멸종위기종 지정…지구온난화로 2100년 서식지 9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지구온난화가 가속화하면서 해빙 면적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이번 연구의 교신
저자
인 스테파니 제누비 우즈홀해양연구소 연구원은 “황제펭귄의 개체 수는 번식과 털갈이에 필요한 해빙과 직결된다”며 “해빙이 너무 적으면 알이 부화할 때 새끼가 바다에 빠져 죽을 수 있고, 해빙이 너무 ... ...
동시에 소리 3개 구분하는 '인공지능 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2
직접 개발한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시험하고 있다. 서울대 제공 연구 논문의 제1
저자
인 김지수 서울대 기계공학부 박사후연구원은 “마치 카메라가 사물을 인식하면 인공지능이 이를 인지하는 AI 비전처럼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이 파형을 2차원(2D)으로 바꾼 뒤 각각의 파형을 구분해낸다”며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뛰어넘어 얻은 성과다. 여러
저자
가 이름을 올리는 연구들과 다르게 터너 교수 혼자
저자
로 이름을 올렸다. 터너 교수는 대학원생이던 1990년대 맥킨지 산맥의 외딴 지역에서 발굴해 얻은 화석 샘플들을 계속해 보관하고 있었다. 당시만 해도 이 화석이 어떤 것을 품고 있는지 알지 못했다. 석회암 ... ...
"성급한 방역 완화, 백신 내성 바이러스 변이 위험 키운다"
연합뉴스
l
2021.07.28
생겼을 경우에만 사회적 방역 조치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코크 밴 오스터호트 교수는 인간은 백신이라는 무기를 가지고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군비경쟁을 하는 셈이라며 방역 조치로 바이러스 확산을 막아 개체 수를 크게 줄일 수 없다면 이 경쟁에서 이길 수 없을 ... ...
미생물이 플라스틱 만드는 과정 처음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7
줄여주는 단백질을 발견해 단백질이 PHA 생산에 영향을 주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 1
저자
인 최소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연구조교수는 “실제 세포 내에 바이오플라스틱 덩어리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몰랐는데 이번에 관찰 방법을 개발하면서 세포 내 고분자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 ...
사회적 학습으로 쓰레기통 덮개 무력화한 똑똑한 큰유황앵무
연합뉴스
l
2021.07.23
앵무를 따라 하면서 배우는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
로 애플린 박사에게 큰유황앵무의 비디오를 보여줘 이번 연구의 출발점이 된 '호주 박물관'의 선임 과학자 리처드 메이저 박사는 큰유황앵무에 대해 "호주의 다른 많은 새처럼 시끄럽고 공격적이며, 멍청한 ... ...
[의학바이오게시판] 하재인 고려대 의대생 SCI급 논문7편 출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의학과 4학년생이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비만대사질환 논문 7편을 제1
저자
로 게재했다고 밝혔다. 졸업논문을 위한 연구가 필수가 아닌 의대생으로는 이례적 성과다. 하재인 학생은 “학생의 아이디어에 항상 귀 기울이고 조언을 아끼지 않은 박성수∙권영근 교수 덕분에 학생으로서 ... ...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 뱀 풀어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쥐잡이뱀을 추적한 결과 뱀들은 5~20일 동안 활동 반경이 1km를 벗어나지 않았다. 연구 1
저자
인 한나 게르크 박사는 “이들 뱀은 하루 평균 65m를 움직였다”고 말했다. 뱀의 꼬리 부분에 위치확인용 송신기를 단 모습이다. 한나 게르크 제공 뱀들이 어디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뱀의 방사능 오염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