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뉴스
"
영화
"(으)로 총 2,4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호러에 열광하는 이유
2018.11.04
말고, 이미 안전함을 알고 스스로가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 공포(귀신의 집이나 호러
영화
또는 롤러코스터)의 경우 이후 더 큰 즐거움을 가져오곤 한다. 미지근한 곳에 있었을 때보다 추워서 덜덜 떨다가 따듯한 곳에 들어가면 그 기쁨이 더 큰 것과 마찬가지다. 이러한 ‘통제 가능한 ... ...
영화
'퍼스트맨' 보는 관객을 위해 정리한 NASA 스토리
과학동아
l
2018.11.03
First Man)’에 고스란히 담겼다. 최근 닐 암스트롱의 인류 첫 달 착륙을 다룬
영화
‘퍼스트맨’ 미소 냉전시대에 우주 경쟁(space race)에서 옛 소련을 앞질러야 한다는, 다분히 정치적인 이유로 설립된 NASA가 올해 10월 창립 60주년을 맞았다. 암스트롱의 인류 최초 달 착륙은 NASA가 소련과의 우주 ... ...
인터넷 속도 느려도 고화질 영상 끊김없이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0
동영상 회질(왼쪽)과 관련기술을 적용한 화질(우). KAIST 제공. 인터넷으로 TV나
영화
를 시청할 때 영상이 수시로 뚝뚝 끊어지거나 화질이 떨어지는 현상을 막는 방법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는 환경에서도 고화질(HD) 비디오 시청이 가능하고 UHD 방송은 물론 가상현실, 증강현실 ... ...
미래에서 온 남자?
팝뉴스
l
2018.10.25
사람 몸만 시간 여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화제의 영상 속 남자도 옷을 벗었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등장인물처럼 경찰차를 탈취하려는 것이다. 맨 주먹으로 유리창을 치고 있다. 터미네이터를 모르는 네티즌들도 ‘세상에는 별의별 사람이 다 있다’며 영상에 놀라워한다. ※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 사진 제공 KAIST 몸 안에 들어가 치료를 한 뒤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분해돼 사라지는
영화
속 전자약이 실제로 나올 전망이다. 구자현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원과 강승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말초신경 손상을 전기 자극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생분해성 무선 전자약을 개발해 의약학 ... ...
양자컴퓨팅 개발 열쇠 ‘단일원자 핵스핀’ 측정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인리히 단장은 “눈에 보이지 않는 양자 세계를 표현한
영화
‘앤트맨과 와스프’ 등을 통해 최근 양자 세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매우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수많은 전자장비가 들어 있는 휴대폰을 오래 사용하면 뜨거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이 ... ...
집단지성의 기부, 과학의 하늘을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나왔다. 평범한 시골 소년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로켓 공학자의 꿈을 이루는
영화
‘옥토버 스카이’에서 땄다. 이날도 그는 행사 기획단인 ‘10월의 하늘 준비위원회’와 함께하고 있었다. 준비위원회도 특정 조직이 있는 게 아니다. 그해 여름 행사 기획에 참여한 사람들이 그냥 그해의 ... ...
전국 도서관 과학강연 ‘10월의 하늘’ 27일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0
소년이 시련을 이기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로켓공학자가 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옥토버 스카이'에서 땄다. 1회 때 행사를 준비하던 기부자 김준태 씨가 제안해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10월의 하늘은 현장 과학자 외에 과학을 공부하는 학생, 과학 작가와 기자, 예술가, 교사 등이 다양한 주제로 ... ...
괴물 같은 메기 “꿈에 나타날까 무서워”
팝뉴스
l
2018.10.10
하나 삐죽 나와 있다. 공포감을 일으키는 외모다. 메기를 두고 해외 네티즌들은 공포
영화
에 나와도 될 괴물 같다고 평한다. 메기가 괴물이 된 이유는 괴물같은 먹성 때문이다. 메기는 아르마딜로 한 마리를 삼키려는 순간 잡혔다. 어떻게 메기가 잡혔는지 그리고 아르마딜로가 살아서 달아날 수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묘사했다. 노벨상을 수상하면 상금 900만 크로나(약 11억 2400만 원)가 주어진다. 1963년
영화
‘더 프라이즈’의 마지막 장면에선 노벨상 수상이 이뤄지는 스웨덴이 과학자들에겐 꿈의 장소라는 점을 이렇게 묘사했다. 과학자 : “(잠에서 깨어난 뒤) 여기가 어디야? 천국?” 과학자의 딸 :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