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제생물올림피아드서 한국 금2·은2 기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번 대회는 생물계통분류학 등
생명
과학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해
생명
과학 전반의 지식과 과학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16일 14시 한국과학기술사관 개관식을 개최하고 이날부터 정식 개관했다. 한국과학기술사관은 국립중앙과학관 ... ...
행성 탐사·바이러스 전문가 7월 대전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이번 콘퍼런스를 기초‧임상‧산업계 및 지자체가 활발히 교류하는 장으로 만들기 위해
생명
공학기업을 대상으로 면역학적 치료기법에 대해 다루는 세션도 마련했다. 또 다른 콘퍼런스는 IBS 기후 및 지구과학 연구단 행성대기 그룹이 주관하는 ‘IBS 행성과학과 우주탐사 콘퍼런스'다. 22~25일 ... ...
빛으로 '기억 소멸' 조절…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단백질 활성을 조절하는 데 성공하며 PTSD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KAIST는 허원도
생명
과학과 교수팀이 뇌에서 기억 형성과 소멸을 조절하는 단백질 기능을 처음으로 규명하고 빛으로 단백질 활성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 ...
아토피피부염 개인 맞춤 치료 가능성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피부과 박창욱 교수, 이광훈 연세대 명예교수, 김수민 연세대 의과대학 의
생명
과학부 연구원이 독일 본대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아토피피부염 진단, 경과 관찰, 치료 결과 예측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최신 바이오마커를 모아서 정리한 리뷰논문을 국제학술지 ... ...
생명
연, OECD와 ‘간 닮은 장기유사체 독성시험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수행한 비동물‧인체생물학 기반 비임상시험 자료를 제출하도록 허용했다. 이를 계기로
생명
연은 간 오가노이드 기반의 간독성, 약효평가 서비스를 8월부터 개시할 예정이다. 손 책임연구원은 “오가노이드가 임상 전 단계인 임상 0상 플랫폼으로 활용되기 위해선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 ...
우연히 동결된 5만년전 매머드 피부, 고대DNA 3D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고대 화석의 염색체는 대부분 부분적으로만 보존됐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생명
체 전체의 역사를 연구할 만큼 충분한 양의 염색체 정보를 얻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전체 염색체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선 수십억 개의 염기서열을 확인해야 하지만 실제로 발견되는 고대 염색체는 대부분 10 ... ...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남아프리카와 호주에 건설 중인 초대형 전파 망원경 프로젝트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SKA)'의 컨셉 일러스트. SKAO/SKA Observatory 제공 지난 수십 년 동안 과 ... "우리가 우주에서 유일한
생명
체 거주 행성이라면 정말 이상할 것"이라며 "
생명
의 조건과
생명
의 재료는 어디에나 있다"고 밝혔다. ... ...
"화성 다녀오면 15년 늙어"…바이오칩 우주에 보내 노화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중반에 돌아가셨습니다. 임종도 못 지켰어요. 이후 저도 모르게 심장에 대한 관심이 생겨
생명
공학 공부에 매진했어요. 8년 전에는 어머니가 암으로 돌아가셨습니다. 노화를 늦추고 질병을 치료하는 신약 개발에 매진하는 계기가 됐어요. 앞으로 심장 오가나이드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고 노화를 ... ...
[동물do감] 빵 먹고 자란 '도시 갈매기'도 생선 제일 좋아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선호해서가 아니라 편리함 때문이라는 해석이다. 엠마 인자니 영국 엑서터대 보건 및
생명
과학부 박사후연구원팀이 청어갈매기(학명 Larus argentatus) 새끼들이 먹고 자란 먹이의 종류가 생선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1일 국제학술지 '피어제이(PeerJ)'에 공개했다. ... ...
젊은 대장암 환자 사망 위험, 양자컴퓨팅 기술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양자 머신러닝 모델이 개발됐다. 연세대 의대는 박유랑 의
생명
시스템정보학교실 교수와 김한상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연구팀이 조기 발병 대장암 환자의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망 위험을 예측하는 양자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에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