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내
수로
공동
개울
강철
소매
하천
뉴스
"
강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스터’는 사용후핵연료 공기 중에서 식히는 임시저장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건식저장’으로 나뉜다. 습식저장은 두꺼운 콘크리트 구조물 속에 스테인리스
강
내벽으로 이중설계한 뒤 물을 채워 물 속에 사용후핵연료를 넣어 열을 식히는 방식이다. 건식저장시설은 습식저장소에서 최소 5년 이상 냉각된 사용후핵연료를 콘크리트나 금속 구조물에 저장해 방사선을 차단하고 ... ...
[
강
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
강
석기의 과학카페(1~8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번역서로는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을 썼다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팔 짧고 머리 작으면 치매 위험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4
다른 결과가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됐다"며 "유전자 검사를 믿는 것보다는 차라리 매년 건
강
검진을 규칙적으로 해 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검찰조사 기다린다"는 과기정통부 시무식에 참석한 신성철 KAIST 총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말 과기정통부의 DGIST 감사 결과로 연구비 부적절 집행, 제자 편법 채용 등의 의혹으로
강
도 높은 감사와 주변 인물 검찰 조사가 진행된 이후 과기정통부가 주최하는 공식 행사에 거의 얼굴을 내비치지 않았다. 지난해 말 열린 KAIST 정기 이사회에서는 약 1년 전인 2018년 12월 14일 열린 이사회와는 ... ...
"'한
강
에서 썰매타기' 앞으로는 불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3
2000년대 14.5일로 눈에 띄게 줄었다. 100년 만에 얼어붙는 기간이 82%나 줄어든 것이다. 한
강
의 결빙 기간이 줄어든 원인으로는 기후변화 외에도 급격한 도시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 ...
한국육종학회 회장에
강
시용 원자력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서 국제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다.
강
회장은 “첨단 신육종기술의 연구개발 활성화와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기술을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며 “새로운 첨단 육종 및 생명공학 기술로 개발되는 신유전자원이 안전하게 ... ...
[
강
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
강
석기의 과학카페(1~8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번역서로는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을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촬영했다. 이 지역은 미국에서 대표적인 연어 서식지지만, 연못에 물을 공급하는
강
의 상류에 대규모 광산이 개발될 계획이 세워지면서 서식지 파괴 논란이 일고 있다. 블랙홀의 그림자/ETH/네이처 블랙홀의 그림자/ETH/네이처 2019년 4월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블랙홀의 첫 사진이다. 정확히는 ... ...
가두리 양식장 속 어류 360도 선명한 영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센터는 해양수산기술지역특성화사업의 하나로 바다나
강
에 사는 해양 생물의 서식환경을 살펴보는 수중 카메라를 제작하고 먼 거리에서도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무선 수중영상 시스템을 개발했다. 광각카메라를 활용해 물속에서 360도 촬영할 수 있고 알루미늄 방수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일어나면서 얼음 속에 있거나 얼음에 붙어 있는 물질들의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것이다.
강
교수는 이런 사실을 알아내 2018년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물리화학레터스’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jpclett.8b01825 결정 구조만 17가지 지금까지 얼음 결정은 육각형이라고 계속 언급했다.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