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자"(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새로운 명소로 만들었다. 그렇다면 청계천의 야간 조명은 광공해의 피해에서 자유로울까.필자의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청계천의 경관조명에 대한 광공해 발생 여부를 측정해 분석했다.광공해의 원인이 되는 빛은 크게 두 가지다.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이 조명대상의 영역 밖으로 비치는 ‘새는 ... ...
- 과학으로 미래를 내다본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분석해 정확한 로또복권 판매량을 예측하는 모형을 고안하고 있다. 예측공학 개봉박두필자는 2002년 국내 유일의 예측전문기업인 ‘폴비존’(Forbizone Inc.)을 설립했다. 지금까지 삼성전자, KT, SK텔레콤, 현대자동차, CGV, 에버랜드, LG전자, 한국은행 등 국내 굴지 기업들의 예측문제를 해결해왔다. ... ...
- 식물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이미 파란 카네이션을 개발해 몇 가지 품종을 일본과 미국, 유럽에서 판매하고 있다. 필자는 박사학위 수여식 때 지도교수였던 도쿄대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의 우치외야 교수에게서 푸른 카네이션 20송이를 선물 받은 적이 있다. 당시에는 푸른 카네이션이 시판되기 전이었는데, 한 송이 가격은 50 ...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과학동아 l2006년 03호
- 언제 같은 값을 기록했는지 비교해보면 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시기를 알 수 있다. 최근 필자의 연구팀은 이와 같은 방법들로 제주도 지하수의 나이를 조사했다.제주도 지표 부근 현무암층에서 채취한 지하수의 나이는 대부분 20년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해안에 가까운 지역의 깊이 100m 내외의 ...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총당류 섭취량이 다소 과소평가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만과 당섭취량은 무관필자는 탄수화물 섭취량, 총당류 섭취량, 총열량 섭취량 항목과 비만도의 관계식을 산출했다. 비만도는 체질량지수(BMI)를 이용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신장(c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25가 넘으면 과체중 ...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과학동아 l2006년 02호
- 발전해 수백억 달러의 정보저장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 ...
- 11개 중 2개의 진실과학동아 l2006년 02호
- 하는데, 만약 446g이 나왔다면 4개가 가짜니까 4번 주머니가 가짜라는 것을 알 수 있다.필자가 초등학생일 때 방학 과제인 탐구생활에 이 문제가 실린 적이 있다. 초등학생 주제에(?) 형사 콜롬보의 열렬한 시청자이다 보니 문제를 보자마자 답을 알았는데, 방학이 끝나고 보니 나 혼자 정답을 적었다 ... ...
- 피부의 천적 가려움증과학동아 l2006년 02호
- 치료 효과가 있는 약물들을 합쳐서 쓰게 되므로 어떻게든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필자의 추측이다.임상에서 드물지 않게 보는 질환 가운데 만성적인 두드러기가 있다. 대부분의 두드러기는 생긴지 며칠 내에 없어지고 다음에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간혹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이주했음을 나타내는 유전학적인 증거이기도 하다. 조선족·만주족과 제일 가깝다최근 필자는 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모계유전을 하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했다. Y염색체가 아버지를 통해 아들에게만 전달되는 부계유전을 하는데 비해 미토콘드리아 DNA는 어머니를 통해 아들, 딸 모두에게 ...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과학동아 l2006년 01호
- 나타내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대표적인 예다. 개굴개굴이 겨울연가 인기 비결?지난해 필자와 공동연구팀은 사람들이 의성어나 의태어 단어를 보는 동안 대뇌 활성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연구를 했다. 피험자에게 화면에 제시된 의성어 단어를 보여주자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