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자
모형
틀거
판
사진틀
프레임
금형
d라이브러리
"
틀
"(으)로 총 84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뇌정위술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스웨덴 미국이 거의 동시에 뇌정위
틀
의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그러나 당시의 뇌정위
틀
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을 요구했다. 고도로 훈련된 병리학자(病理学者)가 아니면 사용할 엄두도 낼 수 없는 기술이었던 것.
틀
(frame)자체도 무겁고 부담스러운 것이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X선을 통해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카운셀링, 선별검사 및 진단에 대한 지침을 포함한 문제들을 취급하는 윤리적인
틀
은 반드시 필요하게 될 것이다.비밀을 완전하게 보장히기 위해 유전적 자료들의 보관 취급 이용을 위한 엄격한 규칙을 채택해야 하며 제3자에 의한 유전적 정보의 남용은 법에 의해 금지되어야 한다.한편 질병의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한다. 남이 푼 문제를 풀었다면 그저 그렇고 남들이 푼 문제를 나만 못 풀었다면 낙방은
틀
림없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입학시험에 자신을 가질 수 있을 만큼의 실력을 갖출 수 있을까?수학(水学)이 안되게 하려면우선 TV고교가정학습의 교재를 살펴보자. 교재는 '기본사항' '필수예제' '실전문제'의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먹으러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쥐
틀
'이라는 남의 아이디어를 빌려 같은 원리의 바퀴벌레
틀
을 만들어(발명) 6억엔어치나 팔았다. 또한 일본의 오오노씨는 어린 시절에 '파리가 붙으면 죽는 끈끈이 종이'를 보고 후일 그 아이디어를 빌려 '바퀴벌레가 달라붙으면 죽는 끈끈이 종이'를 만들어 ... ...
컴퓨터 그래픽스 디자인 혁명을 가져오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관련된 지식은 컴퓨터 전반으로 파급되어 과거에는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딱딱한
틀
안에 데이타를 입력하거나 검색할 데이타를 불러내어 확인하고 프린터로 출력하던 것을, 가능한 한 그림과 그래프 등을 활용하여 처리하려는 시도가 가속화되고 있다.이미 공장자동화나 빌딩관리 유압관리 등의 ... ...
제2의 석기시대를 예상하며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이는 뚜렷한 근거없이 선택한 공대인이 겪어야 할 첫번째 장벽이었다.●- 공대라는
틀
에서 벗어나기 위해고등학교때 부터 공부를 한다는 것에 대하여 유난히도 많은 물음을 가졌었다. 왜 내가 공부를 하는 것일까? 내가 이렇게 공부할 때 같은 또래의 다른 이들은 왜 일만하고, 왜 돈을 버는 ... ...
개척분야에서 뛰고픈 욕망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이리저리 끌려다니기에 바빳던 것이다. 하지만 대학은 학습방법이나 분위기가 분명히
틀
릴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참아냈다.소위 일류대학을 위한 고득점이 세상의 전부인양 하는 세태, 국영수와 같은 과목을 절대시하는 풍조는 없어져야 한다. 물론 그 과목을 경시하자는 얘기는 절대 아니다. ... ...
헝가리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마을사이에는 길이 따로 없다. 이런 황야에서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두레박
틀
이 있는 우물과 그 주변의 나무 몇 그루 뿐이다.역사를 얘기해주는 유적과 박물관부다페스트에서 발라톤호로 가는 도중에 세케시페헬바르 마을이 있다. 이곳의 옛이름은 '아르바 레기아'로 옛 왕국의 중앙에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것이 성장하면서 불변하리라 생각할수도 없다. 다시 말하면 어느 정도의 구조나
틀
을 갖고 태어나서 환경의 영향을 받아 한 사람의 개체로 완성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신생아의 조건반사새로 태어난 동물 새끼들은 금방 일어서고 걸어다니기도 한다. 반면 사람의 갓난아기는 그러한 운동면에서는 ... ...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해야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일상생활에서의 자원의 중요성, 혈액순환도, 물을 사용할 때의 과학적 방법 등의 일정한
틀
이 없이 자연스럽게 설명되고, 에너지보존의 법칙도 이론적 부담없이 부각된다."이런 것은 교과연구를 진행했던 모든 교사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교과서의 구성이 일단 생활주변의 것에서부터 출발,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