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일부는 유전자가 발현될지 말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30억 쌍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유전체 중 유전자는 2%도 안 되고, 나머지는 모두 ‘비암호화 영역’이 차지하고 있다.최근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은 이 영역에 주목했다. 자폐와 관련된 유전 변이가 비암호화 영역에 있다는 것을 ...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철도 촬영을 잘할 수 있는 팁을 물어보자 한결 군은 “기차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각도가 진짜 예뻐요. 특히 눈이 오면 훨씬 더 예쁘죠”라고 말했습니다. 계절의 변화와 함께 철도의 모습도 풍경에 녹아드는 모습이 일품이라고 합니다. 철도를 사랑하면 전국의 간이역을 다니며 여행도 할 수 있으니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자기장 이상 지역을 파악해 ‘달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달 표면 자기 이상 지역의 진화와 기원’ 등을 밝힐 예정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만든 감마선분광기로는 산소, 철, 칼슘, 티타늄, 규소, 라돈, 자연방사성원소 등 다양한 원소를 분석해 원소 지도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원소 지도가 ... ...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동물이든 무엇인가를 생산해내지 못하면 쓸모없어진다. 20년 넘게 구동한 MI-20은 쓸모없어진 개체들을 수없이 보아왔다. 거의 활성화 되지 않던 데이터에 지나지 않던 그 경험은 사고의 확장과 함께 수면 위로 부상했다. 그리하여 MI-20은 생각했다.쉬고 싶지만 앞으로 계속 쓸모 있는 존재로 남고 ... ...
- [기획] ‘가라앉지 않는 배’ 타이타닉 어쩌다 가라앉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절반에도 못 미치는 700명 정도만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2020년 미국의 천문학자 밀라 진코바는 타이타닉호 출항 당시 발생한 지자기폭풍●을 빙산 충돌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타이타닉호 항해 도중 발생했던 강력했던 지자기폭풍의 영향으로 내부에 설치된 나침반이 제대로 기능하지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다양하고 풍부한 화석이 발견되는 지역입니다. 잠깐, 제주도는 마그마가 굳어져 만들어진 화산섬인데 어떻게 퇴적암에서 발견되는 화석이 나오냐고요?제주도 지역은 원래 모래가 깔린 수심 100m 이내의 얕은 바다였습니다. 조개나 고둥처럼 탄산칼슘(CaCO3)으로 껍데기를 만드는 다양한 생물이 살고 ...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320억 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을 거라고 추측해요. 처음 관측했을 때보다 훨씬 멀어진 것이지요. 그렇지만 아직 실망은 일러요! 202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제임스 웹 망원경이 본격적인 우주 관측을 준비하고 있으니까요.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보다 성능이 더 좋아서 훨씬 먼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거예요. 이 효과를 이용해 홀로그램을 만드는 기술을 ‘홀로그래피’라고 하지요.보통 사진은 물체에 반사된 빛이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맺힌 상이 필름에 기록된 거예요. 반면 홀로그램은 2개의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요. 물체에 반사된 빛의 파동(물체파)과, 물체에 닿지 않은 빛의 파동(기준파)이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연구를 하기를 기대합니다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너무 나이가 많은 수학자들이 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필즈상이 만들어진 근본적인 목적에 반하는 것이 아닐까요? Q. 현재 무엇을 연구하고 있나요? 필즈상 수상으로 삶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A. 무엇을 연구하는지는 자세히 말할 수 없어요(웃음). ‘극한 기하학(Extremal Geometry)’의 연구라는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