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길을 걷다가 갑자기 픽 쓰러져 잠을 자는 환자는 상위 1% 안에 들 만큼 희귀합니다.
전문가
들은 미디어가 만든 이런 이미지 때문에 기면증 환자들이 병원에 오지 않는다고 우려합니다. 졸린 증상 때문에 아무리 고통스러워도 ‘나는 저 정도로 쓰러져 잠을 자지는 않으니까 기면증은 아니겠지’라고 ... ...
[과학뉴스] NASA에서 1억 년 전 발자국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포유류 등 8종의 생물이 남긴 70개의 발자국이 포착됐지요.암석을 발견한 공룡발자국
전문가
레이 스탠포드는 “이번에 발견한 발자국은 포유류와 공룡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지정한 ‘지역절멸’ 종이에요. 야생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는 뜻이지요.
전문가
들은 소똥구리가 먹이와 서식환경이 변해서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해요. 옛날에는 소가 넓은 땅에서 풀을 뜯어 먹으며 자랐어요. 그런데 소가 농장에서 집단으로 사육되면서 풀이 아닌 인공 사료를 먹게 됐지요.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목소리가 담긴 주파수 대역의 잡음을 제거하면, 크고 작은 주파수를 가진 파형만 남는다.
전문가
들은 잡음을 없앤 깨끗한 음질의 소리를 듣고 정확한 대화 내용을 확인하는 등 필요한 정보를 분석한다. 음성 변조 여부도 스펙트럼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변조된 구간은 스펙트럼의 분포 범위나 형태가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화산 폭발 이듬해인 2011년 3월에는 남한의 문산과 북한의 개성에서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회의가 열렸다. 그러나 북한이 막판에 거부해 종결됐다. 이 책임연구원은 “시추를 통해 핵실험 등 북한의 지질 활동 전반을 파악할 수 있다”며 “시추 연구에 ‘불순한 의도’가 있다고 생각해 거부했던 것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마음대로 조작하지 못함을 드론을 띄워 직접 확인하자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드론
전문가
인 김현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를 영입했다. 드론 테스트는 쉽지 않은 과제다. 드론 제어에 상당히 복잡한 실시간 계산 알고리즘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드론은 공중에서 자신의 위치와 방향, 바람의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드라이브 하는 스타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한 장면같은 스타맨의 우주 여행을 생중계했지요.팰컨 헤비의 목적지는 화성 궤도예요.
전문가
들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로켓으로 손꼽히는 팰컨 헤비의 추진력이라면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까지 날아갈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또 팰컨 헤비는 지상에서 추진력을 얻을 때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일부일 뿐, 가상현실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VR
전문가
들은 컴퓨터 처리 능력이 발달하고 장비가 개인에게 보급할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해지면 오아시스 같은 가상현실 게임도 가능할 거라고 합니다. 환상적인 게임 속 세상에 들어갈 날을 기대 해 보세요. 물론,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NASA)이나 캘리포니아공대 같은 해외 기관에서 2~3개월에 한 번씩 연락이 와요. 한국
전문가
의 연락처나 담당자를 물어오면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우주에 다녀온 게 벌써 10년 전이네요. 한국은 현재로써는 제2의 우주인을 양성할 계획이 없는데요. 후속 연구를 통해 이어나가고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autopilot) 상태였고, 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두 사건에 대해
전문가
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우버와 테슬라에 적용된 자율주행모드가 레벨2에 불과해, 운전의 주도권이 여전히 운전자에게 있었다고 지적한다. 미국 자동차공학회(SAE)는 자율주행 기술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