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것보다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이용해서 실질적인 것들을 예측하는 일을 해보고 싶어 전기전자공학을 복수전공했습니다. SW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에게 조언해 주세요.수학과 컴퓨터 모두 중요해요. 특히 수학은 기호의 조합을 이용해 일상의 모든 것들을 추상화시켜 표현하는 언어잖아요. 따라서 ... ...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무학과로 운영하며, 2학년 때 주전공과 부전공을 선택한다). 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뿐만 아니라 산업디자인과, 경영공학과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EOE의 특징은 수학과 물리학이라는 두 분야를 동시에 다루는 학술동아리라는 점이다. KAIST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도입된 무인주문기, 전기자동차 실내, 가정용 이동통신 중계기, 지하철역 대형 광고패널, 전기 분전함, 시내버스 운전석, 경찰서 통신실 등 총 8곳의 생활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도 측정대상이다. 최 연구사는 “생활공간의 전자파 측정은 일상적인 생활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황을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액화된 산소는 자석에 붙을 정도로 자성이 강하다. 또한 극저온에서 고체화된 산소는 전기전도성을 지니며, 심지어 초전도성을 띠기도 한다. doi:10.1038/31656산소 분자는 자외선을 흡수해 동소체*인 오존(O₃)을 형성하기도 한다. 주로 지구 대기의 성층권에서 이런 반응이 일어나며, 형성된 오존은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독화살 개구리가, B 구역에는 독화살 개구리와 전기 뱀장어, 그리고 C 구역에는 전기 뱀장어와 피라냐가 산다고 가정하면, A, C의 두 구역만 보호하면 4종류의 동물을 모두 보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멸종위기 동물을 보존하는 문제는 이보다 훨씬 복잡한데요, 집합 덮개 문제는 답을 찾는 효율적인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실타래도 깔끔히 풀어내야 했다. 또 다른 우주인 후보 김태우는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전기공학연구원에서 일하다가 우주인이 되고 싶어 미국으로 유학 가 항공공학으로 전공마저 바꾼 ‘우주 덕후’였다. 언젠가 한국에서도 우주인을 선발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품고 우주인 선발 공고가 나기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교육에서 수행했던 과제들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전 학과장은 “기존의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의 교과과정을 토대로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교과과정을 구성했고, 수업의 질을 석사과정 수준까지 끌어올리려고 노력한다”며 “학부 졸업생들이 학부와 석사과정을 통합해 이수한 것과 같은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개발하고 있다. 강유전체는 전기장을 가하지 않아도 양극과 음극의 분극이 일어나고, 전기장을 가하면 분극이 바뀐다. 전압에 따라 분극 상태를 부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데이터를 0과 1 외에도 다양한 상태로 나타낼 수 있는 셈이다. 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KAIST, 서울대, 포스텍, UNIST,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글. 안현석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실 박사후연구원이다. 전기방사 공정을 이용한 신축성 투명전극 개발을 통해 웨어러블, 스트레처블 전자기기를 개발하고 있다.Byeongwan@wearablelab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때 중요한 점은 배터리가 얼마나 많은 전기를 담을 수 있는지 나타내는 전기 용량입니다. 전기 용량은 일반적으로 전력의 단위인 와트(W)로 나타냅니다. 하지만 로봇의 경우 배터리의 용량을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편하게 만들기 위해서 mAh(밀리암페어시·mili-Ampere-Hour)라는 단위를 더 많이 씁니다.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