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일"(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표정을 읽을 수 있게 진화한 것 같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우리는 사람의 감정을 아는 유일한 동물인 거죠. 또 주인님이 좋아하는 것이 뭐가 있더라? 아, 신발! 처음엔 불편해서 한 발 떼기도 어려웠어요. 제가 신발을 신자 앞다리를 뻣뻣하게 디디고 있는 모습을 보고 ‘로봇’이라며 웃으셨죠? 하지만 ... ...
- 수학촌의 단짝친구수학동아 l2012년 02호
- 3과 같은 홀수를 더하면 짝수가 되기 때문에 삼촌 소수는 딱 한 가지밖에 없다. 바로 유일한 짝수 소수인 2와 5이다.또한 친화수란 단짝 자연수도 있다. 친화수는 두 수 A, B로 이루어지는데, A의 진약수(자기 자신을 제외한 모든 약수)를 모두 더하면 B가 되고, B의 진약수를 모두 더하면 반대로 A가 된다 ... ...
-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충전이 가능한 거리는 무선 충전 국제표준단체(WPC, Wireless Power Consortium) 인증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받은 LS전선의 무선충전기 ‘차버’의 경우 5mm 정도다. 보통 패드에 올려놓고 충전하지만 이론상으로 5mm 정도 떨어져도 충전된다. 패드와 커버 사이에 이물질이 있으면 어떨까. 5mm 이하의 두께면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과정에서 1의 성질을 찾을 수 있다. 1은 0을 제외하고 원래의 값(1)과 제곱한 값(1²)이 같은 유일한 수다. 이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0도 원래의 값과 제곱한 값이 같기 때문에 0×0=0, 00×00=000, 000×000=00000과 같이 쓸 수는 있다. 하지만 각 자리의 값이 0인 수는 모두 0이므로 의미가 없다. ... ...
- Intro. 지구, 70억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강을 건너고 늪을 메우고 바다를 건너고 도시를 개척했다. 그 결과 단일종으로는 유일하게 지구 거의 모든 기후, 모든 영역에 발자국을 남긴 동물이 됐다. 무엇이 이런 ‘기적’을 가능하게 했을까. 더 진출할 영역은 있을까. 계속 번성해 100억 시대에 이를 수 있을까. 지구 70억 시대를 맞아 인류가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약간 못 미친다.현재로서는 두 소행성이 100년 안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거의 유일한 천체다. 하지만 그 확률은 매우 낮다.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을 제외하면, 운석에 의한 파국적인 인구 감소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 오히려 기후변화 등 인류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입자물리학에서 이야기하는 표준모형이고, 마지막 조각은 17개의 기본 입자 중에서 아직 유일하게 발견되지 않은 힉스다.지난해 12월 13일 세계 입자물리학자들의 시선은 유럽입자 물리연구소(CERN)로 몰렸다. 공개 세미나를 통해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 있는 두 대의 검출기 ATLAS와 CMS의 실험 결과를 ... ...
- 제주도, ‘세계 7대 자연경관’으로 날개 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저를 찾는 관광객도 많아지겠죠?치명적인 매력이 뭔지 궁금해!이미 저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2003년 생물권보전지역 등록,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재, 2010년 세계지질공원 인증 등 유네스코 자연과학 분야 3관왕을 달성한 바있어요. 게다가 저는 세계 7대 자연경관 예비심사 기준인 일곱 가지 주제 섬, ... ...
- 하늘로 둥둥 떠오르는 풍선의 비밀! 헬륨(He)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가장 반응성이 작은 기체예요. 또한 절대 온도(237K)에서도 얼지 않고 액체로 존재하는 유일한 원소이죠. 헬륨의 끓는점이 모든 원소 중에서 가장 낮거든요.헬륨은 수소와 가까운 원소예요. 우선 헬륨의 원자번호는 1번인 수소에 이어 2번이에요. 또한 헬륨은 상온에서 수소 다음으로 가벼운 기체이며, ...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쓸 수 있는 곳은 전세계에서 이탈리아의 나폴리 해안과 백령도의 사곶해안이 유일하다고 해.둥글둥글, 콩돌 해안!콩처럼 생겼다고 해서 ‘콩돌’이라고 해. 놀라지 마! 이 콩돌도 규암이야. 두무진 같은 거대한 규암층에서 떨어져 나온 돌들이 약 1만 5000년 동안 파도에 밀리고 부딪혀 매끄럽게 변한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