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한양대 교수진에게 직접 듣는 바이오메디컬공학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리빙 포인트 하나: 진로는 잘 알아본 다음 선택하는 것이 좋다. 한 어린이가 있었다. 그는 실험을 좋아하고, 산으로 강으로 쏘다니며 풀꽃이나 작은 ... 책 한 권에 담았다. 20년차 가드너인 저자가 식물을 돌보는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책상
위
화분을 더 잘 돌볼 가드닝 팁도 얻을 수 있다 ... ...
[특집] 수학자 러셀 수학을 논리
위
에 세우다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러셀의 마음을 뜨겁게 했어요. 러셀은 ‘수학=논리학’이라는 생각으로 수학을 논리학
위
에 세우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년 뒤 집합으로 수학의 체계를 완성하려 했던 고틀로프 프레게의 논리에 모순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 내용을 편지에 적어 프레게에게 알립니다. 당시의 수학계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5장. 힐베르트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공리계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마치 로지반 제작자들이 언어에서 중의적 문장을 제거하기
위
해 새로운 언어 체계를 만들었듯이 말이죠. ♣ 모순 안녕! 이 작업에 누구보다 앞장섰던 사람은 바로 독일의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입니다. 그는 ‘힐베르트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수학자와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는 즉시 실행되므로 빌더가 움직이기 시작해요. 만약 빌더의
위
치를 바꾸려면 채팅명령어 ‘2’를 실행하세요. ➒ 실행한지 약 20분 이 지나도 랭턴의 개미(빌더)가 만든 바닥은 불규칙한 모양을 띠지만(1), 조금 더 지켜보면 규칙성이 보여요(2).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한 ... ...
[특집] 분수에 맞게 공평하게 나눠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대한 부분의 크기를 나타낸 수예요. 가로선의 아래엔 전체를 나타내는 수인 ‘분모’가,
위
에는 부분을 나타내는 수인 ‘분자’가 들어가요. 하나의 파이를 똑같은 크기의 3조각으로 나눈 것 중 한 조각은 1/3이라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지요. ‘전체’를 알아야지! 그런데 전체가 항상 1인 건 ... ...
[특집] 문체의 매력에 퐁당! 러셀 책방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시작됐습니다.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그의 사고는 수학과 철학을 논리
위
에 세우고, 전쟁과 핵을 반대하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힘이었어요. 가슴이 뜨거웠던 프로N잡러 러셀의 삶을 돌아보며 내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에 대해 돌이켜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만드는 모든 과정이 담겨 있습니다. 설탕 반죽을 조물조물하고 내가 원하는 색을 만들기
위
해 색소를 뿌리면 1차 준비 완료! 이후 반죽을 원하는 캐릭터로 데코레이션 한 뒤 엿가락 늘리듯 쭈욱~ 당겨 주고 칼로 착착 썰어주면 완성되죠. 리드미컬하게 수제 사탕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다 보면 어느 ... ...
[특집] 데이터가 보여주는 식량
위
기의 이유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사례에서 교훈을 얻고, 현재 나아가야할 길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 시작점은 현재
위
기의 이유를 아는 것이다. 데이터와 통계는 우리에게 나아가야할 길을 알려주는 이정표인 셈이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자체가 고유한 건 아니잖아요.”“보내신 파일에도 나오지만, 이 필치는 털을 아래
위
로 쳐내며 속도를 올리는 기법으로 그려졌어요. 남이 흉내 내기 힘듭니다. 그나마 여홍옥이 밑그림에 얼굴과 이름을 남겨서, 김부영에 대한 기록이 숱해서 밝혀진 사실이라고 해야겠죠.”“김부영 일가에서 대응할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여러분과 수학계 선후배로 꼭 만나고 싶어요!” 김린기 인하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이뤄진 좌표
위
에 그려진 그래프를 떠올리곤 해요. 하지만 제가 연구하는 것은 좌표
위
에 그리는 그래프가 아니라 점과 선으로 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구조를 갖는 그래프예요. 이런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가 그래프 이론이지요. 예를 들어 3명의 친구가 아는 사이인지를 나타낼 때, 각 친구는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