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부
가불가
진위
시비
d라이브러리
"
여부
"(으)로 총 1,694건 검색되었습니다.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심해3000m에서 뭘 먹는지 알고 싶다면 고래 똥을 보면 되겠지? 게다가 고래 똥은 임신
여부
, 독소, 호르몬, 유전적 특징까지 알려 준단다. 고래 똥은 액체 상태로 배설과 거의 동시에 바다에 퍼지므로 재빠르게 건져서 살펴봐야 해. 고래 똥 냄새를 맡는 탐지견과 함께 망망대해에서 고래 똥을 찾는단다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한 바텐더가 A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것. 이들은 곧바로 감염
여부
를 통보받았다.A형간염은 파티에 참가자 한 명이 감염돼도 바이러스 전파를 걱정해야 할 만큼 전염성이 높다. 김 교수는“바이러스에 오염된 식수나 음식에서 체내로 들어온 바이러스가 간에서 ...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지구 저편 유럽에서 라틴방진을 연구했던 오일러는 차수에 따른 직교라틴방진의 존재
여부
에 대한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했다. 즉 ‘4k+2’(k는 자연수)차 직교라틴방진을 찾을 수 없었던 것. 최석정이 만들다 실패한 10차 직교라틴방진은 k=2일 때. 오일러는 k=1일 때 즉 6차 직교라틴방진을 찾는 유명한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전환됐기 때문이다.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차이는 기억이 뇌의 시냅스에 저장돼 있느냐
여부
.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한 뒤 그냥 전원을 끄면 문서가 사라지지만, ‘저장’을 누른 뒤 끄면 하드디스크에 담겨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장기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은 196 ... ...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결정성장 실험은 이미 결과 분석이 끝났으며 국제 유명학술지에 논문이 투고돼 게재
여부
를 심사받고 있다”고 밝혔다.이날 발표회에서는 이 박사가 ISS에서 머무는 동안 촬영한 서울 야경과 다양한 구름 사진, 그리고 5가지 교육실험 영상도 공개됐다. 이 영상은 7월 중 각급 학교에 배포돼 수업 ... ...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밝은 빛이 일시적으로 종이와 필름을 노랗게 만들기 때문이다. 즉 색깔의 변화로 위조
여부
를 알 수 있는 셈이다. 과학의 힘으로 열심히 가짜를 구별한 썰렁홈즈. 너무나 뿌듯한 마음에 세계탐정협회 회장에게 즉시 전화를 걸었다. 오잉~, 그런데 이게 뭔일?회장님은 편지를 기울여 보라는 한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전 : 우주인 호텔에서 출정식을 갖는다.❸ 발사 6시간 전 : 최종 의학 검진을 실시해 비행
여부
를 결정한다.❹ 발사 4시간 50분 전 : 우주복을 입는다.❺ 발사 3시간 40분 전 : 우주인 가족과 대표단의 면담이 이뤄진다.❻ 발사 3시간 05분 전 : 우주비행 보고식을 하고 발사대로 이동한다. 이동 버스에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특수한 물질이기 때문이다.생명체와 비생명체를 나누는 가장 큰 특징은 생명체의 번식
여부
다. 박테리아는 외부에서 영양물질을 획득해 스스로 번식하는데 반해 바이러스는 다른 세포 내부에 침입한 다음 숙주세포의 유전물질 속에 들어가야만 번식할 수 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와 비생명체의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있다. 본 모습을 버리고 변신해 말썽을 일으키는 이들 단백질을 통제하는데 성공하느냐
여부
가 앞으로 인류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할 전망이다.돌이켜보면 광우병과 인간 광우병은 소의 사료를 바꾸어서 초래한 인재다. 도축한 동물의 찌꺼기가 아까워 사료로 활용해 이득을 보려던 영국의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손 박사는 “활성단층대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울산의 망원경 위치를 추적해 지진 발생
여부
, 한반도가 있는 아무르판의 이동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2001년부터 시작된 KVN사업에는 230억 원이 투입됐는데, 이 가운데 150억 원이 3대의 접시 안테나를 만드는 데 쓰였고 나머지가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