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쌍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 새로운 혜성 이케야-장 관측 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물론 천체망원경에서는
쌍
안경과 또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혜성 꼬리의 모습을 보려면
쌍
안경이 훨씬 더 유리하지만, 소형 망원경에서는 혜성의 머리부분(코마)을 좀더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코마를 잘 보면 중앙으로 갈수록 좀더 밝아지고 코마의 한쪽 끝은 꼬리와 연결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
깃털공룡이 말하는 조류 진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鎖骨)이 이미 퇴화돼 없어졌기 때문에 공룡이 새로 진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차골은 한
쌍
의 쇄골이 V형으로 변한 것으로 시조새를 포함해 새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새의 차골이 쇄골이 없는 공룡에게서 진화했다는 이론은, 진화상 한번 없어진 형질은 같은 종에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는 ... ...
쌍
둥이 퀘이사는 충돌중인 은하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하지만 성능이 뛰어난 찬드라 X선망원경으로 관측하자 진실이 드러났다. X선으로 바라본
쌍
둥이 퀘이사는 너무 다른 모습이었던 것이다.물론 가시광선에서 이들이 똑같아 보이는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았다. 이들 퀘이사가 서로 가까이 형성돼 가시광선에서 똑같아 보이고, X선으로 중심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선별기 내부에는 광센서가 배치돼 있다. 이 광센서는 위와 아래가 한
쌍
을 이룬다. 위쪽 센서에서는 적외선을 계속 내보내고, 이 빛을 아래쪽 센서가 받아들이는 것이다.그런데 지폐가 투입구로 들어오면, 광센서 사이를 가로막아 빛이 제대로 아래쪽 센서로 들어가지 못한다.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에필요한주형인‘한가닥(single-stranded)의DNA 제조’를 가능하게 한 바이러스다. 30억
쌍
의 염기서열을 밝혀내는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던 데는 한가닥 DNA의 제조기술이 큰 공헌을 했다.| 인핸서 |유전자가 발현하는 정도를 늘려주는 촉진인자다.| 인트론 |DNA염기서열 중에서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탄생을 막끼리의 충돌로 본다. 먼 과거에 휘어진 5차원 공간에 평탄하고 텅빈 막 한
쌍
이 나란히 있었다. 어떤 시기에 두개의 막이 특정 거리에 있을 때 세번째 막이 하나의 막에서 분리되고 다른 막(우리우주)으로 떨어진다. 중간에 공간의 양자요동으로 잔물결이 일어나고 잔물결은 충돌 순간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결과 원자들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이다. 이를 세개의 축에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세
쌍
의 레이저를 이용하면 공간적으로 완벽히 한 지점에 원자들을 멈추게 할 수 있다.이같은 레이저 냉각법으로 원자들을 nK(${10}^{-9}$K)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정도의 온도에서 원자는 1초에 2cm 움직인다.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을 해독해내는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완성시켰다. 그리고 이제는 30억
쌍
의 DNA 염기서열을 통해 수만개 유전자와 수백만개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는 과제를 안고 있다.그런데 여기에서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가 유전자와 단백질을 규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다르다, 또는 장소가 다르다는 식으로 운명결정 요인을 계속 늘려가는 것이다. 그러면 ‘
쌍
둥이는 같은 운명을 갖게 될까’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름이 다르다는 식으로 또다른 변수요인을 만든다. 뿐만 아니라 ‘괘보다는 해설’ 또는 ‘꿈보다는 해몽이 중요하다’는 식의 변명이 준비돼 있다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퇴적물이 공급되지 않는 가을과 겨울에 형성된 것이다. 하부층과 상부층이 이루는 한
쌍
의 두께는 흥미롭게도 11년을 주기로 달라지곤 한다. 이는 태양의 흑점주기와도 일치돼 주목된다.1년이 아닌 하루를 반영하는 퇴적물 조합도 있다. 바로 탄산칼슘 성분과 진흙 성분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