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속
마음
심리학
가슴속
뱃속
심리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심리
"(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사람이 주어진 상황에 만족할수록 미소로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 표현한다는 사실은 여러
심리
학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다만 사용자가 미소를 지었는가의 여부는 사람마다 판단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둘 이상의 관찰자가 함께 사용자를 관찰해 미소짓는 횟수의 평균을 구했다.단계 2 디자인 ... ...
군인의 뇌에는 ‘사랑 호르몬’ 흐른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군인의 충성심과 결속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심리
학자 칼스텐 드류박사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이 ‘자기중심적 이타주의’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6월 11일자에발표했다. 자기중심적 이타주의란 군인처럼 ... ...
누구도 믿을 수 없는 불신의 벽, 편집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가장 견디기 어려운 감정 중 하나가 불안이다. 불안은 우울증만큼이나 정신의학자와
심리
학자의 단골 연구 대상이었다. 어떤 의미에서 인간의 모든 학문은 불안의 감정을 극복하기 위해 발전했다고 봐도 지나치지 않다.불안이란 한 마디로 ‘자신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위협감을 느낄 때 ... ...
마법의 숫자 7±2로 기억력을 높여라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들어온다. 한데 뭉쳐 있는 정보를 의미 있는 단위로 쪼개면 기억하기 쉬운 원리다.미국의
심리
학자 조지 밀러는 1956년에 마법의 숫자 7이라는 개념을 발표했다. 사람의 뇌는 짧은 기억을 저장할 때 최대 7개의 문자나 숫자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서 그보다 적은 수로 쪼개서 외우는 것이 좋다는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학계에서도 본격적으로 스트레스를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심리
학 분야에서 적극적이었다. 또 스트레스 생리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쌓이면서 오늘날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이 많이 밝혀졌다.930년대 셀리에 교수가 발견한 현상은 ‘싸움 또는 도망반응’과 ‘시상하부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 교수는 “사랑이나 미움 같은
심리
현상을 진화의 개념으로 이해하려는 ‘진화
심리
학’, 에드워드 윌슨 하버드대 교수가 주장하는 ‘사회생물학’ 등은 새로운 논란을 낳고 있다”며 “진화론이 진정한 가치를인정받기 위해서는 심각한 왜곡과 극단적인 반론이 제기될 수 없는 더욱 분명한 ... ...
침팬지도 죽음을 애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 같은 자의식은 최근까지도 사람의 전유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동물도 이와 유사한
심리
적 현상을 겪는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영국 스털링대 제임스 앤더슨 박사팀은 동물원에서 사육되는 침팬지들이 나이가 많은 암컷 침팬지의 죽음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비디오카메라로 관찰했다.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않는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자신의 표는 버려지는 표나 다름없다고 여기는 사표(死票)
심리
가 발동한다. 그렇다면 진실은 무엇일까.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는 5월 6일 영국에서 진행된 총선을 주제로 선거제도가 결코 자유와 평등을 완벽히 실현시켜주지 못한다는 내용의 분석 기사를 ... ...
쥐도 아플 땐 찡그린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만들었다고 ‘네이처메소즈’ 6월호에 소개했다. 사람은 누구나 몸에 통증을 느끼거나
심리
적으로 고통스러울 때 자연스럽게 표정이 바뀐다. 동물에게도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해진 모길 교수는 쥐에게 두통이나 발가락 염증 같은 경미한 통증을 주고 얼굴 근육의 변화를 찍어 표정 분석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논문 제목도 ‘인간 페로몬에 의한 배란 조절’이다. 맥클린톡은 1976년부터 시카고대
심리
학과에 재직했는데, 그동안 주로 쥐를 대상으로 페로몬 연구를 진행했다.맥클린톡은 월경 동조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이런 현상이 일어나려면 두 가지 페로몬이 관여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즉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