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잘못
과실
실책
실패
과오
실례
착오
d라이브러리
"
실수
"(으)로 총 1,13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줄이다보니 덩치 큰 전자가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서로 몸을 부딪쳐 정보전달에
실수
를 연발하기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는 “빛은 전자에 비해 정보처리의 양과 속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며 “만일 빛의 발생과 전달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NGC2422에 해당했던 것이다. 즉 메시에가 위치를 표기할 때 부호를 잘못 기입하는
실수
를 범했던 것이다.이 M47은 바로 옆의 M46과 함께 한겨울철 가장 멋있는 산개성단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제 이 두 성단을 찾아가면서 2백50년 전 메시에가 느꼈을 그 감동을 재현해보자. 하늘에는 별들이 모인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런 기법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필자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수
로 간주해 버린다. 반면 피카소 같은 거장은 하나의 기법으로 당당히 내놓고 있다. 대단한 자기 확신이다.우리는 어려서부터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을 색으로 칠하는 방법을 배워왔다. 당연히 그래야 할 것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어디까지일지가 궁금해진다.6백개 풍선 타고 난다어린 시절 갖고 놀던 풍선을
실수
로 또는 일부러 놓아버렸을 때 얼마나 높이 날아갈지 궁금해한 적이 있다. 꿈에서는 풍선을 손에 쥐고 그대로 하늘을 날아보기도 했다.실제로 이런 꿈을 실현시킨 사람이 있다. 영국인 이안 애시폴이 그 주인공. 그는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승객과 1천3백10명의 승무원 등 총 3천9백10명이 탄다. 객실 수가 무려 1천3백10개이고, 화장
실수
를 세어보면 2천개가 넘는다. 2천5백km의 전선, 3천개의 전화기, 2만5천m2의 카펫이 들어가 있다. 배를 칠하는데 사용한 페인트만 해도 2백50t이 될 정도다.이처럼 거대한 초호화유람선을 움직이는 에너지는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관용어구를 대입시켜 고대 페르시아어를 1802년에 거의 판독했다. 그가 만든 음절표에는
실수
가 있었고 대학 교수가 아니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인정을 받지 못했지만, 오늘날 그가 쐐기문자 판독의 선구자였다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쐐기문자를 완벽하게 해독하려면 페르세폴리스에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도입한 일”이라며 후회했다.오늘날 과학자들에게 이들 천재 과학자들이 저지른
실수
는 어처구니 없어보인다. 이형목 교수는 “위로 던져올린 물체가 중력에 의해 올라갔다 다시 떨어져 땅에 다다를 때까지 가만히 있을 수 없듯 중력에 의해 유지되는 우주 역시 한순간도 결코 정적일 수 없다”고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계속되고 있다. 남극탐험에 과학기술이 총동원된 20세기에도 마찬가지다. 인간의
실수
나 기계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예측하기 힘든 남극의 날씨와 인간 심리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남극에서 발생했던 소중한 인명을 앗아간 사고를 통해 남극연구를 재조명해 본다.생존의 신화 만든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링거를 맞은 환자가 사망한 사례가 간혹 보고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의료진의
실수
때문이다. 도핑테스트에 대해서도 커피 10잔을 마셔도 이 수치에 이르지 않는다면서 카페인을 의도적으로 복용하지 않는다면 도핑테스트는 전혀 걱정거리가 아니라고 반박했다.커피가 일의 효율을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지나는 동맥을 자른 것이다. 담당 교수의 매서운 꾸중에 쩔쩔매면서도 김씨는 자신의
실수
가 실제상황에서 벌어진 일이 아니라는 사실에 안도할 따름이다.가상 수술 시대의 도래김씨처럼 수련의들이 가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훈련하는 장면은 먼 미래의 일일까? 최근 ‘햅틱스’(haptics) 분야가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