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산시
부산광역시
부산문화방송
문화
방송
d라이브러리
"
부산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더욱 가속화된다. 드물긴 하지만 이런 증세가 지속돼 시력을 잃는 경우도 발견된 바 있다.
부산
대 의대 가정의학교실 김윤진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0년 ‘우리나라 컴퓨터 이용자의 약 27%가 VDT 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가정의학회지에 발표한 바 있다. 김 교수에 따르면 VDT 증후군 환자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제시되고 있다. 처리한 물을 가까운 하천에 바로 되돌리면 좀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부산
시와 경기도 안양시는 현재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유지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하천은 말라가는데, 비가 올 때 한꺼번에 빗물을 흘러보내는 일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이 때문에 빗물을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4개가 필요할 것이다(그림2).또는 작은 거울이 미세하게 방향을 틀 수 있다면 때에 따라
부산
에서 오는 광신호를 종로구와 강남구로 보내는 미세거울과, 광주에서 오는 정보를 보내는 미세거울을 합쳐 결국 2개가 필요하다. 실제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광스위치의 미세거울이 구동하는 방식이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때문에 연구에만 전념할 수 없었음을 아쉬움으로 남겼다.이에 대해 제자인 김영민 교수(
부산
대 물리교육과)는 “과학교육에서 ‘박승재 이론’이 없다는 점이 아쉽지만 선생님께서 과학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학문적 토양을 만드셨기 때문에 이제는 과학교육에서 무슨 일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길이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리수준과 세계수준을 제대로 알고 본선에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2001년 12월 1일 저녁
부산
에 전세계인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바로 2002년 한일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기 때문이다. 조추첨 결과 우리나라는 우승후보 포르투갈, 유럽의 강호 폴란드,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19위 미국과 한조를 이뤘다.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버스)CTGA (대전의 상보적 DNA)CTTA (대전→대구 버스)ATCG (대구의 상보적 DNA)GCCG (대구→
부산
버스)다. 정답 DNA 선별하는 방법수백조개의 DNA 분자 중 정답 DNA만 가려내는 방법으로 아들만은 PCR과 전기영동 방법을 이용했다. PCR은 DNA 중합효소의 연쇄 반응을 이용해 작은 DNA 조각을 무수히 증폭시키는 .. ...
노벨상 도전하는 세계적 과학자 양성 과학영재학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창의성과 열정을 발산할수 있도록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지금
부산
과학고,
부산
시교육청, 그리고 과학영재교육 전문가들은 분주하다. 이 모든 일이 1년 안에 준비돼야 하기 때문이다.그런데 현행 과학고는 어떻게 될까. 과학기술부는 현행 과학고를 단계적으로 영재학교로 전환시킨다는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대전에 도착했을 땐 내릴 승객만 내리고, 나머지 승객은 모두 그대로 그 열차에 타고
부산
으로 향하는 개념이다.이러한 광통신망에는 빠른 장애복구 기능과 망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성능감시 기능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막대한 양의 정보가 전달되는 초대용량 광통신망에서 장애가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1백30km 상공에서 공기와 마찰로 타버리는데 이 현상은 지상 2백km 반경 내에서 볼 수 있다.
부산
에서 본 별똥별은 서울에서 관찰하기 어렵다는 얘기다.사방으로 뻗어나가는 유성우유성에는 두종류가 있다. 첫번째는 ‘산발유성’으로 아무 방향으로 아무 때나 떨어지기 때문에 언제 어느 곳에서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존재한다.예로는 좌표의 원점을 수평이동하는 경우다. 좌표의 원점을 서울에서
부산
으로 바꿔도 뉴턴의 힘의 방정식은 그대로 적용된다. 이런 대칭에 해당되는 법칙이 바로‘운동량의 보존법칙’이다. 갈릴레이가 살던 시대에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살던 시대에나 물리법칙은 똑같이 적용된다는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