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택트 시대, 세상을 연결하는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스트리밍 서비스와 유사해 보인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들여다보면 훨씬 더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게임은 서버에서 훨씬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무엇보다 게임은 지연 시간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지연 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의 조작과 스트리밍되는 게임 화면이 일치하지 않기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해서 논란이 된 미국 제약회사 엘러간의 유방 보형물 사건에서 해당 제품으로 피해를 본 의료 소비자를 대리해 소송을 진행하는 중이다.의료소송은 의학과 법학이 심도 있게 융합되는 분야다. 우선 사건 자체를 이해하기 위해 의학 지식이 필수적이다. 여기에 증거를 수집하고 사건의 원인을 ... ...
- [진로체험] 잘나가는 엔지니어에서 법의 수호자로! 박의준 보리움법률사무소 변호사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엔지니어로 활동하다 변호사로 진로를 바꾼 박의준 변호사는 공학과 법률을 섭렵‘멀티 플레이어’다. 변호사로 활동하며 직접 자동화 법률서비스 소프트웨어를 만들고있 ... 진로를 바꾸기 전에 조사를 잘 해보고 평생 일을 해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 본격적으로 도전하세요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읽으면천재 | 4중나선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DNA의 구조를 한 번쯤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두 가닥의 사슬이 쌍으로 구성돼 꼬여있는 일명 ‘이중나선’ 구조다. 그런데 최근 네 가닥의 사슬이 꼬여있는 ‘4중나선’처럼 다른 모습의 DNA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4중나선은 과연 어떤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리고 인공지능이 각자 그린 태양 폭풍의 경계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따져본 논문도 있습니다. 태양 폭풍 감시는 다른 천문학 시민과학프로젝트와는 달리 우리 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우주 현상을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캐링턴 사건이 만약 오늘날 발생했다면 ... ...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20m 정도였죠. 연구에 참여한 네리다 윌슨 연구원은 “이 생물은 아마 우리가 바다에서 본 생물 중 가장 길 것”이라며, “심해에 매우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는 예상은 했지만, 관찰 결과,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말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지나다 보면 드러난 지층을 볼 수 있어요. 그런 곳에서 혹시 지층이 끊어진 모습을 본 적 있나요? 이렇게 지층이 끊어져 어긋난 지형을 ‘단층’이라 불러요.단층이 생기는 원리는 마치 긴 나뭇가지에 힘을 주면 살짝 구부러지다가, 힘을 점점 더 강하게 주면 어느 순간 꺾여 뚝 부러져버리는 것과 ... ...
- 기후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대한민국을 덮친 벌레의 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벌레의 생태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길래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걸까? 인포그래픽으로 본 우리나라 기후변화와 벌레의 생태 곤충의 활동성과 대사율은 주위 환경에 크게 의존한다. 특히 중요한 것이 ‘온도’와 ‘습도’다. 종에 따라 최적의 온도와 습도는 다르지만, 대체로 기온이 따뜻해지면 더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여러 개의 점이 있고, 그 점들을 잇는 선으로 이뤄진 형태다. 그래프를 데이터 관점에서 본다면 각 점은 초기 입력 데이터이고, 선은 그 입력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2차 데이터다. 어떤 점끼리 이어져 있는지, 또 점끼리 간격은 얼마나 좁은지를 통해 점들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관계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2018년 열린 미국재료학회(MRS)에서 투명 전극과 관련된 연구를 발표 했는데, 이를 본 이탈리아 밀라노대에서 메탈릭 글래스 소재의 나노 패치를 같이 개발해보자고 먼저 제안해왔다. 제안을 한 사람도 박사과정 연구원이었다. 이 연구원은 밀라노대 에너지학부 소속이었다. 밀라노대 에너지학부는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