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
가 만드는 온실효과의 주범 메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몬순우기는 저위도 지역의 습지를 넓혀나가는데, 이러한 습지가 결국 메탄을 생산하는
박테리아
의 아주 좋은 은신처가 된다는 것이다.오늘날 인간의 활동은 메탄의 증가를 꾸준히 부채질하고 있다. 과거 16만년 이래 그 어느때보다도 무려 50배나 빠른 속도로 메탄양은 증가하고 있다."보스토크의 ... ...
유기농법, 이땅에서도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1945년 유기농학자' '로데일'(J.I.Rodale)에 의해 주창되었다. 그의 이론은 토양중의
박테리아
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흙은 살아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그러나 곧 화학영농에 밀려 그의 유기농법은 한동안 숨을 죽였다는 최근 자신의 로데일농장 안에 로데일출판사를 두고 유기농업에 관한 신문·잡지 ... ...
우주적 위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유용한 돌연변이에 의해 진행한다. 우주선 없이는 진화가 늦어져 오늘날도 지구 위에는
박테리아
보다 더 발달된 생명이 없을 정도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그러나 이 모든 것은 대기의 보호에 달려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위에는 공기가 더 조금 있고 받는 우주선의 양은 늘어난다. 해발 ... ...
-4℃에서 물을 얼게 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스포츠산업에 이 미생물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겨울에 인공 눈을 만들거나 이
박테리아
를 식품첨가물로 사용,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것."환경론자들은 자연 생태계를 파괴한다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물론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면 그럴 우려도 있지요. 하지만 인공적으로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기초로 하여 만들 수 있다. 연구자들은 늘어났다. 수축하는 근육섬유와 편모로 움직이는
박테리아
그리고 백혈구 세포처럼 슬며시 퍼지는 아메바들의 행동양상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들의 동작 원리를 모방하기 위해서다. 순간포착이 중요해드렉슬러는 과학이 이러한 꿈을 실현하려면 ... ...
세계 최초로 담배잎에서 인슐린 뽑아낸 홍주봉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그의 이번 성공담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람의 인슐린 유전자를 토양미생물인 아그로
박테리아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먼저 이식한 뒤 이 미생물을 일부러 상처를 낸 담배의 잎에 옮긴다. 그러면 미생물의 유전자 일부가 담배의 엽록체로 '이사가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담배는 빨리 자라고 ... ...
스키장에서 활약한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스노맥스사가 '슈도모나스 시린게'(Pseudomonas syringae)라는 자연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박테리아
를 활용해 인조눈을 만든 것이다.눈은 구름속의 과냉각된 물이 대기중의 먼지 오물 입자들을 만나, 그것들을 핵으로 해서 뭉쳐지면 만들어진다. 이 응결핵들은 대개 0.1㎛의 직경을 갖고 있다. 가짜 눈, 즉 ... ...
최근에 개발된 명약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H2길항제들이 개발됐지만 개발과정에서 타가메트만큼의 어려움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박테리아
와의 싸움-디베카신1957년 우메자와박사는 카나마이신이라는 항생제를 발견해냈다. 카나마이신은 페니실린에 내성(耐性)을 가진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감염증, 스트렙토마이신에 내성을 가진 결핵균 ... ...
생명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초부터 발전된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생명현상 규명의 기초연구에 적용시켜 왔다. 우선
박테리아
에 기생하는 ΦX174와 Φλ의 전(全) 유전정보를 판독했다. 이는 이들 생물이 가진 다양한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또한 고등생물과 하등생물이 갖는 유전자들이 그 정보를 전개하는 방식과 ... ...
PARTⅠ에너지 ENERGY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용한다. 바로 이 과정에서 수소(${H}_{2}$)가 생성된다.예컨대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박테리아
는 세포내에 있는 효소의 도움을 받아 2개의 수소이온을 결합시켜 수소가스를 만든다. 또 녹조류인 클로렐라는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며 이 과정에서 역시 수소가 얻어진다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