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d라이브러리
"
미
"(으)로 총 1,82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30년쯤에는 화성에 유인우주선을 보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최근에는 화성유인탐사에서
미
국보다 러시아가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01년 옛소련의 구겨진 자존심을 세우고자 러시아는 2014년을 목표로 화성유인우주선을 발사할 계획을 발표했다. 달유인착륙에서 뒤져 우주항공분야에서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티끌형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UC버클리대가 개발한 스마트먼지, 매사추세츠공대의
미
래형 유통 시스템 오토ID까지 연구는 상당 부분 진척돼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유비쿼터스 포럼과 학회가 차례로 결성돼 분위기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한편 완전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려면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등장했다. 그러나 암흑에너지의 존재는 그동안 입증되지 않았었다.그런데 지난해 2월
미
항공우주국(NASA)은 암흑에너지 존재를 뒷받침해주는 우주 초기모습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나사의 우주배경복사탐사선(WMAP)이 12개월 간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한 것이었다.WMAP가 담은 초기우주는 ... ...
2004년은 화성 대탐험의 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2004년에 화성은 결코 외롭지 않을 전망이다. 3대의 궤도탐사선, 3대의 착륙선이 화성의 표면을 조사하기 때문.유럽우주기구(ESA)의 마스 익스프레스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글로벌 서베이어와 오딧세이의 활동에 합류하며, 착륙선 비글2호는 NASA의 스피릿과 오퍼튜니티의 뒤를 이을 전망이다.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느낌과 정보교류가 이뤄지며, 현실의 연장선상에서 구현된다물을 많이 포함한 액상의
미
세입자 서로 다른 전하를 띠는 고분자가 결합해 침전한 액상물질이다 이는 핵산 아라비아고무 단백질용액 등을 혼합해 만들 수 있다 그리스의 히파르쿠스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을 1등성 2등성···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가장 떨어진다. 천식환자의 경우 특히 이 시간에 폐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다. 1989년
미
식품의약청(FDA)은 이른 아침에 복용하는 기관지 확장제를 승인했다.관절염 골관절염 진통은 아침에 덜하고 저녁에 심하다. 반면 류마티즘 관절염의 경우에는 보통 아침에 진통이 가장 심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과잉의 비타민 D를 만들 수 있게 피부색이 최적화된 것이다.남성들이 뽀얀 피부색의
미
인을 선호하는 것도, 이런 여성이 좀더 튼튼한 자손을 낳을 것이라는 사실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작업이 성공할 확률은 아주 낮아서 일부 과학자들은 그와 같은
미
세 조정 작업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결론적으로 말해서 타임머신을 만드는 것은 장애물들이 많으므로 겉보기에는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생각된다. 하지만 손가락으로 뚫은 구멍을 통해 빼꼼하게 잠깐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조선시대의 시계가 과연 정확할까.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 복원돼 있는 앙부일구가
미
시를 지나 2각쯤을 가리키고 있다. 오후 1시 30분경인 것이다. 그런데 손목시계를 보니 실제로는 2시다. 왜 앙부일구와 손목시계의 시간이 다를까.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사연구실 윤용현 연구관은 ... ...
망원경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는 별들이다.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는 별들도 적외선에서는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은 천문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망원경을‘스피처’로 정식 명명했다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