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또 한 집단은 중국으로이동해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갔다.❺ 중앙아시아까지 온
무리
중 일부는 유럽으로 갔다.❻ 계속 순록을 쫓아 이동하던 집단은 러시아까지 올라가 러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사이에 있는 베링해를 건너 이동했다. 지금은 깊은 바다인 베링해는 당시 빙하기로 기온이 떨어지고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붙어 있는 근육이 움직이는 패턴을 분석해 떨림을 최소로 줄인다. 근육을 단단히 조여
무리
가 가지 않도록 하고 운동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도르래 시스템이 적용된 의상에서는 근육을 따라 X자 모양의 밴드가 여러 개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이처럼 전문 스포츠웨어는 앞으로도 소재 과학과 인체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하고 성대가 붙지 않는 가성이나 허스키한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성악에서는 성대에
무리
를 가게 하는 발성이라고 해서 금지하는 경향이 있지만 말이다.대중가요를 잘 부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김 원장은 크게 발음과 호흡 두 가지를 강조했다. “수강생들에게 ‘말하듯이 노래하라’는 주문을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미각 수용체
무리
의 발견에 대한 내용이고, 이어지는 9쪽 분량의 논문은 이 수용체
무리
가 쓴맛 수용체임을 입증하는 내용이다.단맛과 감칠맛의 교묘한 지각 메커니즘2001년 쓴맛에 이어 단맛 수용체가 밝혀졌다. 역시 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의 공동연구 결과였다. 흥미롭게도 이들이 밝혀낸 단맛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잘 배열하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물고기떼가
무리
지어 움직일 때, 한 마리가 움직일 때보다 저항을 더 적게 받는다는 것에서 생각해 낸 거예요. 실제로 풍력터빈들을 물고기떼 모양으로 배열해 보니, 풍력터빈이 서로 돌아가면서 생기는 바람의 혼란이 줄어들었어요. 그 ... ...
흰개미도 깜짝 놀란 에코 빌딩 CH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우리 흰개미들은 개미처럼 작고 여왕개미, 일개미, 병정개미가 있어. 또 개미처럼
무리
를 지어 살지. 이렇게 비슷한 점 때문에 흰개미라고 불려.하지만 개미와 나는 무척 다르게 분류된단다. 개미는 곤충강 벌목에 속하지만 난 곤충강 흰개미목이야.6㎜ 흰개미가 짓는 6m의 집난 크기가 6㎜밖에 되지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연스럽지 못한 상태에서 팔만 빨리 회전할 경우 팔과 어깨뼈 사이의 인대와 근육에
무리
가 가서 부상 당할 우려가 높다.밸런스가 야구에서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문영진 책임연구원은 “스포츠는 종목의 특성에 맞게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역도에서는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가위손잡이 부분이 복원력이 뛰어난 구조와 재질로 되어 있어 오랜 시간 사용해도 손에
무리
가 가지 않는다. 때문에 손가락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어린이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문구가 첨단기술을 만나다현재 문구는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점 그 사용량이 줄고 있다. ... ...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따라서 중등 교과 과정의 기본기를 갖추고 있다면 큰
무리
없이 답변할 수 있다. 진로 계획 및 지원 동기에 대해서는 분명하면서도 구체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좋다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위의 모든 곳을 지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린덴스트라우스 교수는 이를 이용해
무리
수를 아주 가까운 유리수로 나타내는 방법인 리틀우드 추측을 해결했다. 리틀우드 추측은 지난 80년간 미해결 문제였다.응오 교수는 랭글란즈 프로그램의 기본보조정리를 증명했다. 랭글란즈 프로그램은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